오리온은 8일 “오리온 베트남 법인의 초코파이 누적 판매량이 20억개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는 2006년 베트남 진출 이후 8년 만의 기록으로 액수로 따지면 3000억원이 넘는다. 20억개는 베트남 인구(9000만명)가 1인당 22개씩 먹을 수 있는 양이다. 오리온의 성공 비결은 철저한 현지화 전략에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 제과시장의 성장 한계에 직면한 담철곤 오리온 회장은 철저한 실사를 통해 동남아 시장 공략에 착수했다. 첫 교두보는 2006년 진출한 베트남이다.
문제는 무더운 날씨였다. 국내에서 만든 초코파이를 들여와 시장에 풀어봐야 소용이 없었다. 베트남 현지 법인 관계자는 “영상 30~40도에 이르는 나라에서 녹지 않는 파이를 만드는 것이 관건이었다”며 “연구개발(R&D) 인력을 현지에 상주시켜 기술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특히 2009년부터 한국의 정(情)과 유사한 의미의 단어인 ‘Tinh’(띤)을 활용해 제품 포장을 하고 광고 활동도 지속해왔다. 현재 오리온 초코파이는 베트남 파이류 시장에서 점유율 80%를 넘어섰다. 제사상에 꼭 올라가는 제수 용품의 하나가 오리온 초코파이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4-06-09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