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실 누적에 해외자원개발 자산 매각

손실 누적에 해외자원개발 자산 매각

입력 2014-09-13 00:00
업데이트 2014-09-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채덩어리’ 에너지 공기업들이 해외 자원개발 사업 자산을 줄줄이 매각하고 있다.

한국석유공사는 12일 재무구조를 개선하겠다며 자회사인 캐나다 하베스트사의 정유 공장(NARL)을 미국 상업은행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석유공사가 해외 자산을 매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매각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석유공사는 2009년 4조원을 들여 하베스트사의 지분 100%를 인수했다. 이 기업은 총 매장량 2억 2000만 배럴 규모의 석유·가스 생산광구를 보유한 기업이다. 그러나 매입 당시 석유 광구뿐만 아니라 시설이 낡고 수익을 내지 못했던 정유 공장을 ‘끼워팔기’ 매물로 함께 인수해 해마다 1000억원 안팎의 적자가 발생했다.

1조원 규모로 사들였던 정유 공장은 대폭 낮은 가격으로 매각했을 가능성이 높아 수천억원의 손실이 불가피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한국가스공사는 이라크에 있는 아카스 가스전 지분 49%를 매각하기로 했다. 가뜩이나 부채를 줄여야 하는데 해당 지역이 내전과 테러리스트들의 활동으로 생산시설 건설이 중단됐기 때문이다. 투자비는 회수가 불가능할 전망이다.

한국광물자원공사 역시 파나마 코브레 구리광산 지분 10%를 연말까지 매각한다. 6000억원에 달하는 투자비 조달을 감당해내기 힘들어서다.

세 회사는 모두 올해 국제신용평가(무디스, S&P)에서 5년 만에 ‘투자주의’로 투자 부적격 등급을 받았다.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에너지 공기업의 부채는 최근 5년간 81조원 급증했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4-09-13 1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