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수출 역대 최고치…선박 등 주력품목이 실적견인(종합2보)

10월 수출 역대 최고치…선박 등 주력품목이 실적견인(종합2보)

입력 2014-11-01 00:00
업데이트 2014-11-01 11: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입은 3.0% 감소한 443억 달러무역흑자도 74억9천900만 달러로 최고치…33개월째 흑자

우리나라의 지난달 수출액이 선박 등 주력 품목의 수출 호조와 대미 수출 증대에 힘입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수출액이 517억5천500만 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2.5%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일 발표했다.

이는 기존 월간 수출액 최고치인 작년 10월(504억4천800만 달러) 실적을 경신한 기록이다. 월간 수출액이 500억 달러를 넘어선 것은 작년 10월과 올해 4월(502억7천100만 달러)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선박을 비롯한 주력 수출품의 판매 호조가 주된 요인으로 분석됐다. 품목별 지난달 수출 증가율은 선박 35.1%, 컴퓨터 15.3%, 반도체 12.2%, 철강 7.7%, 석유화학 6.2%, 석유제품 4.3% 등이다.

반면 자동차와 무선통신기기 등 일부 품목의 수출은 감소했다. 작년 같은 달에 비해 무선통신기기가 16.3%, 자동차는 13.9%, 자동차부품은 0.5% 줄었다.

무선통신기기는 애플의 신제품 출시와 중국 업체 등과의 경쟁 심화가, 자동차 는 작년 같은 달 수출액이 높았던 데 따른 기저효과와 기아차에서의 잔업·특근 거부 사태 등이 수출액 감소의 배경으로 지목됐다.

지역별로는 대미 수출이 크게 늘었다. 추수감사절과 크리스마스 시즌 등을 앞두고 제품 수요가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지역별 수출 증가율은 미국 25.0%, 중동 9.1%, 중남미 6.2%, 중국 3.7% 등이다. 특히 올해 들어 부진했던 중국 수출이 지난달에 이어 2개월째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유럽연합(EU)으로의 수출은 현지 경기 둔화와 함께 지난달 8.6% 감소했고 대 일본 수출도 1.4% 줄었다.

중소·중견기업의 수출 비중은 다소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들어 지난 8월까지 중소·중견기업의 수출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3.6%로 작년 같은 기간(33.0%)보다 0.6% 포인트 비중이 높아졌다.

지난달 수입액은 3.0% 하락한 442억5천600만 달러로 파악됐다.

소비재 수입은 7.6% 증가했지만 원자재 수입이 3.4%, 자본재 수입은 9.0% 감소하면서 전체 액수가 하락했다.

무역수지는 74억9천900만 달러로 나타났다. 이 액수 역시 역대 최고치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33개월째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달 수출은 조업일수 감소와 유럽 및 일본의 경기회복 지연 등 일부 부정적 요인도 있지만 현재 추세가 이어질 경우 이달 말께 무역 규모 1조 달러 돌파가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이 관계자는 “올해 사상 최대의 무역규모 및 수출 실적 달성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