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영점을 줄이고 가격은 유지하면서 일본계 기업이라는 잘못된 오해를 바로잡는 것이 다이소아성산업의 목표입니다.”
이미지 확대
박정부 다이소아성산업 회장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박정부 다이소아성산업 회장
이른바 ‘1000원 숍’으로 유명한 다이소아성산업의 박정부 회장은 12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이달 말 매출 1조원 시대를 열게 된 것을 기념한 기자간담회를 열고 다이소가 앞으로 나아갈 길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다이소는 1997년 서울 천호동에 ‘아스코이븐프라자’라는 이름으로 1호점을 개점한 후 2001년 일본 다이소로부터 자본 투자를 받게 되면서 다이소라는 이름으로 바꿨다. 창립 13년 만에 매출 1조원에 970개 매장, 약 800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는 균일가 생활용품 기업으로 성장했다.
박 회장은 “다이소는 환율 변동, 인건비와 원재료 비용 상승에도 1000원에서 5000원대의 합리적인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면서 “다이소는 1000원에서 2000원대의 제품이 전체 상품의 88%를 차지할 정도로 제품 가격 자체가 낮기 때문에 다른 기업에 비해 수익성이 높은 편(1%대)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다이소가 일본 다이소의 한국법인이 아니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박 회장은 “일본 다이소에 로열티를 지불하지 않고 인적 교류도 하지 않는 순수 국내기업”이라며 “사람들의 오해가 많은데 지난 5월부터 독도 홍보 활동 지원에서 나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4-12-13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