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절반 최근 1년간 복권 샀다…대부분 1만원 이하

성인 절반 최근 1년간 복권 샀다…대부분 1만원 이하

입력 2015-01-22 14:34
수정 2015-01-22 14: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로또복권 구매자 연간 구입횟수 15.1회→13.4회로 줄어

성인 10명 중 5명꼴로 최근 1년간 복권을 산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는 지난해 11월 14일부터 12월 10일까지 전국 성인남녀 1천명을 상대로 ‘복권에 대한 인식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 중 53.7%가 최근 1년간 복권을 구입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그러나 복권 구매자 중 87.8%는 한 차례 복권을 구입할 때 1만원 이하 소액을 썼다고 답했다.

복권 구매자의 절반가량(53.7%)은 월평균 가구소득이 200만∼400만원이었다.

로또복권을 기준으로 보면 지난 1년간 구매자의 구입 횟수는 총 13.4회로, 한달에 한번 꼴이었다.

1년전 조사치(15.1회)보다 소폭 줄어든 수준이다.

복권 구입 장소는 복권방(60.5%)이 가장 많고 편의점(30.0%)이 그 뒤를 이었다.

응답자의 62.9%는 ‘복권이 있어 좋다’고 평가했는데, 이 비율은 2011년 이후 4년 연속 60%대를 유지하고 있다.

복권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은 남성과 30∼50대의 연령층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복권이 좋은 이유로는 희망·기대(35.4%), 소외계층 지원(30.7%), 삶의 흥미·재미(21.0%) 등을 꼽았다.

복권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응답자는 그 이유로 ‘살 때 겸연쩍다’(41.2%), ‘일확천금을 쫓는 도박이다’(58.0%) 등을 들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면 복권(8.2%)보다는 주식(20.2%), 스포츠토토(19.2%) 등의 사행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더 많았다.

복권 전자카드제 도입에 대해서는 찬성 의견(14.6%)이 많지 않았으며 도입하더라도 현금구매를 병행(30.2%)하거나 지금처럼 현금구매를 유지(46.1%)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복권 수익으로 조성되는 복권기금으로 지원해야 할 분야로는 저소득층 주거안정(58.9%), 소외계층 복지(24.8%), 국가유공자 지원(9.1%), 재해·재난 등 지원(4.0%)을 꼽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