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건강보험 등 공영과 공제를 포함한 민영 등 국내 전체 보험시장이 3년 만에 27% 늘어났다.
3일 보험개발원의 보험통계월보에 따르면 2013년 1년간 공영보험과 민영보험(공제 포함)을 합한 총 수입보험료는 282조9천억원, 계약건수는 3억3천여건에 달했다.
총 수입보험료는 3년 전인 2010년(222조7천억원)에 비해 27.0% 증가했고, 계약건수도 3년 전(2억7천여건)보다 19.8% 늘었다.
전체 보험 3건 중 2건 이상은 민영보험이었다.
민영보험이 2013년에 거둬들인 수입 보험료는 전체의 66.2%를 차지했고, 보유 계약건수도 69.2%를 기록했다. 보유 계약건수는 3년 전 65.4%에서 약 4%포인트 상승했고, 수입보험료는 66.1%에서 큰 변화는 없었다.
공영보험의 3년간 계약건수 증가율은 민영보험의 4분의 1 수준이었지만, 3년간 수입보험료 증가율은 민영보험과 비슷했다.
2013년에 국민연금·건강보험·산업재해보상보험·우체국보험 등 공영보험의 수입보험료는 95조6천여억원으로 3년 전보다 26.6% 늘었다. 공제·생보·손보 등 민영보험의 수입보험료는 187조3천억원으로 27.2% 증가했다.
계약건수는 공영보험이 6.5% 증가했으며 민영보험은 26.8% 늘었다.
국민연금의 계약건수는 7.8%, 건강보험은 2.2% 각각 증가했지만, 수입보험료는 각각 25.3%와 37.1% 늘었다. 공영보험에 속하는 우체국보험의 계약건수와 수입보험료는 각각 18.85%와 19.1% 증가했다.
국민연금의 2013년 수입보험료는 30조7천여억원, 건강보험 수입보험료는 39조300여억원에 달했다. 우체국의 수입보험료는 8조2천여억원이었다.
이는 소득 증가 등으로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의 요율이 매년 오르고, 보험료 상·하한액도 이전보다 상승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민영보험 중에는 생명보험과 손해보험이 크게 증가했다.
생명보험은 2010년 대비 2013년 수입보험료가 34.1% 증가한 108조5천여억원에 달했고, 손해보험은 38.4% 늘어난 69조7천여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2년 농협공제가 생보와 손보로 각각 편입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공영보험은 저소득층 등에 대한 보험 혜택을 확대하고, 민영보험도 각종 사고나 질병에 대비한 기능이 강화됨으로써 전체 시장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3일 보험개발원의 보험통계월보에 따르면 2013년 1년간 공영보험과 민영보험(공제 포함)을 합한 총 수입보험료는 282조9천억원, 계약건수는 3억3천여건에 달했다.
총 수입보험료는 3년 전인 2010년(222조7천억원)에 비해 27.0% 증가했고, 계약건수도 3년 전(2억7천여건)보다 19.8% 늘었다.
전체 보험 3건 중 2건 이상은 민영보험이었다.
민영보험이 2013년에 거둬들인 수입 보험료는 전체의 66.2%를 차지했고, 보유 계약건수도 69.2%를 기록했다. 보유 계약건수는 3년 전 65.4%에서 약 4%포인트 상승했고, 수입보험료는 66.1%에서 큰 변화는 없었다.
공영보험의 3년간 계약건수 증가율은 민영보험의 4분의 1 수준이었지만, 3년간 수입보험료 증가율은 민영보험과 비슷했다.
2013년에 국민연금·건강보험·산업재해보상보험·우체국보험 등 공영보험의 수입보험료는 95조6천여억원으로 3년 전보다 26.6% 늘었다. 공제·생보·손보 등 민영보험의 수입보험료는 187조3천억원으로 27.2% 증가했다.
계약건수는 공영보험이 6.5% 증가했으며 민영보험은 26.8% 늘었다.
국민연금의 계약건수는 7.8%, 건강보험은 2.2% 각각 증가했지만, 수입보험료는 각각 25.3%와 37.1% 늘었다. 공영보험에 속하는 우체국보험의 계약건수와 수입보험료는 각각 18.85%와 19.1% 증가했다.
국민연금의 2013년 수입보험료는 30조7천여억원, 건강보험 수입보험료는 39조300여억원에 달했다. 우체국의 수입보험료는 8조2천여억원이었다.
이는 소득 증가 등으로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의 요율이 매년 오르고, 보험료 상·하한액도 이전보다 상승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민영보험 중에는 생명보험과 손해보험이 크게 증가했다.
생명보험은 2010년 대비 2013년 수입보험료가 34.1% 증가한 108조5천여억원에 달했고, 손해보험은 38.4% 늘어난 69조7천여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2년 농협공제가 생보와 손보로 각각 편입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공영보험은 저소득층 등에 대한 보험 혜택을 확대하고, 민영보험도 각종 사고나 질병에 대비한 기능이 강화됨으로써 전체 시장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