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전문은행 설립 ‘6인 3색’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 ‘6인 3색’

입력 2015-02-09 00:48
수정 2015-02-09 01: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6개 금융사 CEO에 물어보니

금융 당국은 핀테크(금융과 기술의 융합산업) 활성화 차원에서 어떻게든 올해 안에 인터넷 전문은행 탄생을 유도할 방침이다. 하지만 주요 금융사 최고경영자(CEO)들은 “규제 완화가 먼저”라며 뜨뜻미지근하다. 인터넷 전문은행은 점포 없이 인터넷과 전화로만 업무를 처리하는 은행이다.

이미지 확대
서울신문이 8일 신한·KB·하나·농협금융지주와 우리·기업은행 등 6대 금융사 CEO에게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에 대한 견해를 물은 결과 6명 모두 “글쎄요”였다. 당국의 눈치 등을 살피느라 표현만 달리했을 따름이다. 기업과 우리은행은 겉으로만 적극적이었고, KB·농협은 실현 가능성에 시큰둥했다. 신한과 하나는 인터넷 은행의 사업성 자체에 회의적이었다. 6인 3색인 셈이다.

그나마 국책은행인 기업은행이 가장 적극적이기는 하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꼭 그런 것만도 아니다. 권선주 기업은행장은 “(인터넷 전문은행의) 큰 그림이 어떻게 잡히느냐에 따라 방향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지금은 관심을 갖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정도”라고 털어놓았다.

권 행장은 “다만 앞으로의 방향은 그쪽(인터넷 전문은행) 아니겠느냐”면서 “(정부의 규제 완화 등으로) 여건이 조성되면 (인터넷 전문은행) 자회사를 설립하는 방안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의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되는 은산분리(은행과 산업자본 분리)나 실명인증 등에 관한 정부의 ‘그림’이 먼저 나와야 한다는 얘기다.

정부가 대주주인 우리은행의 이광구 행장도 표면적으로는 적극적이다. 이 행장은 “연내에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우리은행은 연구소, 카드 등 계열사 공동의 태스크포스(TF)도 꾸렸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해외 사례를 연구하는 수준이다. 금융 당국이 4월 발표 예정인 인터넷 전문은행 가이드라인을 보고 ‘행동’에 돌입하겠다는 태도다.

윤종규 KB금융 회장과 임종룡 농협금융 회장도 같은 생각이다. 엄밀히 따지면 관심 자체가 덜 하다. 경제관료 출신인 임 회장은 “국내 정서상 은산분리 완화는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스마트폰 대중화로) 인터넷뱅킹이 매우 발달한 우리나라에서 인터넷 전문은행 수요가 얼마나 있을지도 의문”이라고 말했다. 그래서 설사 여건이 조성된다고 해도 권 행장처럼 인터넷 전문은행을 별도 자회사로 둘 생각은 아직 없다.

한동우 신한금융 회장과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도 인터넷 전문은행의 사업성에 다소 부정적이다. 한 회장은 “지금도 인터넷뱅킹으로 웬만한 금융 서비스는 다 누릴 수 있다”며 “인터넷 전문은행은 기존의 인터넷뱅킹과 얼마나 차별성을 갖추느냐가 관건인데 경쟁력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회장도 “인터넷뱅킹과 인터넷 전문은행의 차이는 사실상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외국처럼 정보기술(IT) 업체나 증권사 등 비은행 금융사들이 인터넷 전문은행에 뛰어들게 되면 은행들의 태도가 달라질 공산도 높다. 천대중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미국도 BMW(BMW Bank of NA)나 GE(GE Capital Bank) 등 산업자본이 인터넷 전문은행을 운영하고 있다”며 “은행 채널 없이도 잘 굴러가고 있는 만큼 (국내에 인터넷 전문은행이 등장하면) 금융 풍광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 금융 CEO들도 이 점을 경계한다. 김 회장은 “(규제 완화로) 은행 이외의 플레이어들이 은행업에 참여하게 되면 지금과는 크게 다른 혁신적인 서비스가 등장할 수 있다”며 “이러한 경쟁 상황이 발생하면 우리도 기존 인터넷뱅킹을 업그레이드할지, 아니면 새로운 뱅킹 모델을 준비할지 면밀히 검토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 회장도 “(인터넷 전문은행 시장에) 뛰어들어야 할 상황이 된다면 BNP파리바의 ‘헬로 뱅크’ 모델을 참조할 작정”이라며 상황 변화에 대비하고 있음을 감추지 않았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5-02-0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