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세 이후 男 폐암, 女 대장암 주의해야

70세 이후 男 폐암, 女 대장암 주의해야

입력 2015-02-10 08:11
수정 2015-02-10 08: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립암센터 ‘2012년 우리나라 암 발생 현황’ 보고서에서 지적

70세 이후 연령대에서 남성은 폐암, 여성은 대장암이 가장 많이 발생해 주의가 필요하다.

10일 국립암센터 암등록사업과(공현주·원영주 연구원)의 ‘2012년 우리나라 암 발생 현황’ 보고서를 보면, 모든 암의 연령별 발생률은 50대 초반까지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았다. 그러다가 50대 후반부터는 남성의 암 발생률이 여성보다 높아졌다.

특히 남성은 44세까지는 갑상선암이, 50~69세까지는 위암이, 70세 이후에는 폐암이 가장 많이 발생했다. 여성은 69세까지는 갑상선암이, 70세 이후에는 대장암이 가장 많았다.

남녀 전체 주요 암의 연평균 증가율은 갑상선암(22.6%), 전립선암(12.7%), 유방암(5.8%), 대장암(5.2%) 등의 순으로 높았다.

간암(-1.9%)은 1999년 이후로 꾸준히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남성의 주요 암 연평균 증가율 순위는 갑상선암(24.3%), 전립선암(11.4%), 대장암(5.6%) 등의 순이었다. 간암(-2.2%)과 폐암(-0.9%)은 지속적으로 줄었다.

여성의 주요 암 연평균 증가율 순위는 갑상선암(22.4%), 유방암(5.9%), 대장암(4.3%) 등의 순이었고, 자궁경부암(-3.9%)과 간암(-1.6%)은 계속 떨어졌다.

모든 암의 인구 10만명당 연령표준화발생률은 1999년 219.9명에서 2012년 319.5명으로 늘어 연평균 3.5%의 증가율을 보였다.

연령표준화발생률은 각 연령군에 해당하는 표준인구의 비율을 가중치로 주어 산출한 가중평균발생률로, 연령구조가 다른 지역 간 혹은 기간별 암 발생률을 비교하기 위해 사용된다.

남성은 1999년 291.9명에서 2012년 337.2명으로 1.6%의 연평균 증가율을, 여성은 1999년 173.3명에서 2012년 321.3명으로 5.6%의 연평균 증가율을 보였다.

세계표준인구로 보정한 우리나라의 모든 암(기타피부암 제외)에 대한 연령표준화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294.3명으로 미국(318.0명), 호주(323.0명)보다는 낮았으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271.5명)보다는 높았다.

2012년 우리나라에서는 약 22만명의 암환자가 신규로 발생했으며, 암 종류별로 갑상선암, 위암, 대장암, 폐암, 유방암 등의 순이었다.

우리나라 국민이 평균수명(81세)까지 생존할 때 암에 걸릴 확률은 37.3%였다. 10명 중 3명이 평생 살면서 암에 시달릴 것이란 말이다.

남성(77세)은 5명 중 2명(37.5%)에서, 여성(84세)은 3명중 1명(34.9%)에서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됐다.

전 세계적으로 암 발생자는 약 1천400만명에 이른다. 암으로 말미암은 사망자는 82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서 암은 1983년 이후 사망원인 1위 질환이다. 2013년 전체 사망자 중 28.3%가 암으로 숨졌다. 우리나라는 급격한 인구 고령화와 생활양식의 변화로 암 발생 및 암 사망자가 계속 늘고 있다. 이로 말미암아 개인 삶의 질 저하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도 막대한 비용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정부는 ‘암 정복 10개년 계획’을 세워 암 예방부터 치료, 관리, 기초 연구까지 국민의 암 발생과 사망률을 낮추고, 암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