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서 증권사 등으로 옮겨
연말정산 파동의 불똥이 ‘연금저축 갈아타기’로 옮겨 붙고 있다. 보험사의 연금저축보험에 가입했던 고객들이 증권사의 연금저축펀드 등으로 갈아타고 있는 것이다. 바뀐 연말정산 제도로 새삼 자신의 연금저축에 관심을 갖게 된 고객들이 보험이나 신탁의 저조한 수익률 등에 실망해 단기 수익률이 좀 더 높은 펀드로 옮겨 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9일 서울신문이 생명보험협회와 손해보험협회를 통해 대형 생보사 5곳, 손보사 9곳의 ‘연금저축보험 이전신청’ 건수를 파악한 결과 생보사 고객의 이전 신청은 2013년 평균 42건에서 지난해 평균 77건으로 83% 증가했다. 손보사 고객의 이전 신청도 같은 기간 평균 16건에서 24건으로 50% 늘었다.
이런 양상은 올해도 이어지고 있다. 5개 생보사의 올 1월 이전 신청 건수는 평균 74건으로 2013년보다 76% 증가했다. 9개 손보사도 평균 28건으로 같은 기간 75% 늘었다.
보험업계는 고객 이탈을 연말정산과 연결지어 해석한다. 2013년부터 연말정산이 화두가 되다 보니 ‘내 연금저축은 어떻지?’ 하고 수익률을 찾아보다가 저조한 성적표에 실망하는 고객이 속출했다는 것이다. 정부는 2013년 연금저축 납입금에 대한 연말정산 방식을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로 바꾸겠다고 발표했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보험사가 판매하는) 연금저축보험이나 (은행이 판매하는) 연금저축신탁은 원금이 보장되는 대신 수익률은 (증권사의) 연금저축펀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면서 “가뜩이나 연말정산 혜택이 줄어든 마당에 당장 눈앞의 수익률이라도 높은 상품으로 고객이 옮겨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삼성증권 관계자도 “세액공제 혜택(연간 최대 납입금 400만원의 12%인 48만원)은 펀드나 보험이나 똑같다 보니 연금저축펀드로 옮겨오는 고객들이 (연말정산 제도 변경 이후) 눈에 띄게 늘어나는 추세”라고 전했다.
연금저축 상품의 수익률은 업권과 회사, 상품마다 기간과 특성이 달라 비교가 어렵다. 다만 금융감독원이 2012년 내놓은 금융소비자 보고서에 따르면 실제 ‘연금저축 10년 누적 수익률’은 채권형을 기준으로 연금저축펀드(42.55%), 연금저축신탁(41.54%), 연금저축보험(생보사 39.79%, 손보사 32.08%) 순서다.
증권사의 적극적인 판촉 마케팅도 고객 이동에 한몫한다. 대형 증권사 소속 설계사는 “보험은 초기 2년만 판매수당을 받지만 펀드는 전체 보험 적립금의 0.5~0.6%를 해마다 받기 때문에 설계사 입장에서 고객에게 이전 권유를 안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조영현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연금저축보험은 7년 이내에 이전하면 수수료 이외에 해지공제액을 추가로 떼 손해를 볼 수 있고 연금저축펀드는 원금 손실 위험이 따르는 데다 나중에 수익률이 어떻게 변할지 모른다”면서 “연말정산 결과에 욱해 결정할 게 아니라 상품 간 장단점을 잘 따져 보고 선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5-03-10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