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에 반한 유커’…2명중 1명은 제주 관광

‘제주도에 반한 유커’…2명중 1명은 제주 관광

입력 2015-03-17 09:23
수정 2015-03-17 09: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해 제주 찾는 중국인 17.8% 늘어난 337만명 이를 듯

지난해 한국을 방문한 유커(遊客·중국인 관광객) 2명중 1명 꼴로 제주도 관광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관광공사·제주관광공사·여행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을 찾은 유커는 612만7천명으로 전년의 432만7천명에 비해 41.6% 증가했다.

특히 제주도의 경우 항공직항편이나 크루즈, 환승형태로 입국한 중국인이 286만명으로 전년의 181만명보다 58%나 뛰어올랐다. 방한 중국인중 제주도를 찾는 비중이 2013년 41.8%에서 46.7%로 4.9%포인트나 늘었다.

이처럼 제주도에 중국인이 몰리고 있는 것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제주도 입국 유커에게는 비자면제혜택이 주어지면서 중국-제주간 항공편과 크루즈 운행이 증편됐기 때문이다.

실제 중국-제주간 직항편은 2013년 56편에서 2014년 90편으로 60.7%, 크루즈선 운항편도 30편에서 52편으로 73.3% 증가했다.

또 제주도의 자연경관에 대한 중국인들의 평판이 좋은데다, K-팝과 드라마 등 한류가 중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으며, 중국 위안화가 점진적으로 평가절상된 점도 ‘유커 유입’을 부채질하고 있다.

지리적으로 가깝다는 점도 한 몫하고 있다. 상하이에서는 비행기로 1시간, 베이징에서는 2시간 30분이면 제주도를 찾을 수 있다.

올해 제주도를 찾는 유커는 작년보다 17.8% 늘어난 337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여행업계 관계자는 “제주도가 비자면제 지역인데다, 중국에서 제주도로 오는 단체여행 비용이 굉장히 저렴하기 때문에 중국인들이 부담없이 찾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