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16일 홈플러스 모기업인 영국 테스코에 서한을 보내 홈플러스 매각에 앞서 개인정보 불법매매 사건의 피해 소비자 구제 방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서한에서 “테스코와 한국 홈플러스가 개인정보 불법매매 피해 소비자를 방치하는 가운데 홈플러스 매각이 결정됐다는 소식에 당혹감을 감출 수 없다”며 “지금 테스코는 피해 소비자 구제는 나 몰라라 하고 오직 매각을 통해 수익을 올리는 데만 급급한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매각 절차를 시작하기에 앞서 지금이라도 개인정보 불법매매 사건의 피해 소비자 구제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라”며 “소비자 피해 구제를 1순위 과제로 두고 이를 해결하는 것이 세계적 기업의 마땅한 모습”이라고 강조했다.
홈플러스 법인과 도성환 사장 등 전·현직 임직원 6명은 경품행사 등으로 모은 개인정보 2천400만여건을 231억7천만원을 받고 보험사에 넘긴 혐의로 2월 기소됐으며 현재 재판이 진행 중이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소비자교육중앙회, 한국여성소비자연합, 한국YWCA연합회, 한국소비자연맹, 소비자시민모임, 한국소비자교육원, 한국YMCA전국연맹, 녹색소비자연대, 한국소비생활연구원, 한국부인회총본부 등 10개 소비자단체로 구성됐다.
연합뉴스
이들은 서한에서 “테스코와 한국 홈플러스가 개인정보 불법매매 피해 소비자를 방치하는 가운데 홈플러스 매각이 결정됐다는 소식에 당혹감을 감출 수 없다”며 “지금 테스코는 피해 소비자 구제는 나 몰라라 하고 오직 매각을 통해 수익을 올리는 데만 급급한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매각 절차를 시작하기에 앞서 지금이라도 개인정보 불법매매 사건의 피해 소비자 구제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라”며 “소비자 피해 구제를 1순위 과제로 두고 이를 해결하는 것이 세계적 기업의 마땅한 모습”이라고 강조했다.
홈플러스 법인과 도성환 사장 등 전·현직 임직원 6명은 경품행사 등으로 모은 개인정보 2천400만여건을 231억7천만원을 받고 보험사에 넘긴 혐의로 2월 기소됐으며 현재 재판이 진행 중이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소비자교육중앙회, 한국여성소비자연합, 한국YWCA연합회, 한국소비자연맹, 소비자시민모임, 한국소비자교육원, 한국YMCA전국연맹, 녹색소비자연대, 한국소비생활연구원, 한국부인회총본부 등 10개 소비자단체로 구성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