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레드용 생산설비 3분기 풀가동… 개소세 폐지로 판매늘 듯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TV 시장에 기대감이 가득하다. 중국, 일본 등 글로벌 TV 업체가 속속 경쟁에 합류하면서 전체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고, 국내에서는 개별소득세(개소세)가 폐지되면서 가격 경쟁력에 힘을 싣게 됐다. 올레드는 현존하는 TV 가운데 가장 뛰어난 화질을 갖춘 차세대 TV로 꼽힌다. 하지만 기술이 어렵고 가격도 비싸 시장이 크는데 장애가 많았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8/09/SSI_20150809184026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8/09/SSI_20150809184026.jpg)
화색이 돈 건 LG전자다. LG전자는 그동안 99%에 육박하는 압도적인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며 사실상 올레드TV 시장을 독식해왔다. LG전자 측은 “시장이 확대되고 제조사가 많을수록 유리하다”면서 “LG전자는 올레드 패널 부문에서 독점적인 경쟁력과 기술 리더십을 갖고 있다. 패널 공급선도 다변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중국 업체들은 LG디스플레이의 올레드 패널을 공급받아 완제품을 조립한다. 이에 LG디스플레이는 올레드용 생산설비를 3분기부터 풀가동할 예정이다. 생산 목표는 원판 기준으로 월 3만 4000장이다. 기존 생산량은 월 2만 6000장이었다. 원판 한 장에 55인치 패널은 6장이 나온다.
국내에서도 좋은 분위기가 형성됐다. 기획재정부가 최근 소비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개소세 과세 대상을 정비하면서 에너지소비 등급이 낮은 올레드 TV(42인치 이상)에 부과하던 개소세를 폐지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올레드 TV 가격은 약 5% 떨어진다. 업계 관계자는 “개소세 폐지에 따라 구매 심리가 개선되는 효과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올해 1분기 전 세계 올레드TV 판매대수는 3만 520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 4600대보다 7배 이상 성장했다. 디스플레이서치는 올해 올레드TV 판매대수를 40만대로 추정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5-08-1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