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 운동이 경제성장에 가장 큰 기여”

“새마을 운동이 경제성장에 가장 큰 기여”

입력 2015-08-12 07:03
수정 2015-08-12 07: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광복 70주년 기념 국민인식 조사 결과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4명은 우리나라 경제 성장에서 새마을운동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했다.

12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19세 이상 성인 남녀 800명에게 경제 성장에 가장 큰 기여를 한 사건을 물어본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38.6%가 새마을운동을 꼽았고 ‘경제개발 5개년 계획’(32.5%), ‘88 서울올림픽’(15.8%), ‘2002년 월드컵’(11.4%) 순이었다.

고도 성장을 가능케 한 가장 큰 원동력은 ‘잘 살아보겠다는 국민의 의지’(58.8%)인 것으로 조사됐다. ‘남다른 교육열에 기반을 둔 인재양성’(14.4%), ‘정치적 리더십과 체계적인 정부 정책’(11.1%)이 뒤를 이었다.

응답자의 절반은 산업화 이후 우리 경제의 가장 큰 위기로 ‘1997년 IMF 외환 위기’를 꼽았다. ‘최근 경기 침체와 저성장’(33.1%)이란 답변도 적지 않았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제 수준에 대해선 응답자의 40.9%가 중진국 수준이라고 평가했고 중상위권 수준(34.2%)이라는 답변도 많았다.

응답자의 21.9%는 우리나라가 6~10년 후에 선진국이 될 것으로 예상했고 ‘11~20년 후’라는 답변은 16.2%였다. ‘예측 곤란하다’는 답변도 48%나 됐다.

’한국이 어떤 나라가 되길 희망하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나라’(43.4%), ‘민주주의가 성숙한 나라’(33%)라는 답변이 주를 이뤘다.

현재 우리 경제가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로는 ‘청년 취업 및 일자리 창출’(37.8%), ‘경제적 약자 보호와 복지 확충’(16.8%) 순으로 꼽혔다.

박찬호 전경련 전무는 “우리나라 고도성장은 국민의 의지와 교육열을 바탕으로 기업과 정부가 다 함께 합심해 이뤄낸 성과”라면서 “선진국 반열에 오르기 위해 제2의 새마을운동, 제2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같은 구심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