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구조 개편’ 재계 예측 보니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지난 11일 기자회견에서 롯데그룹을 지주회사로 전환하겠다고 밝히면서 앞으로의 롯데그룹 지배구조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8/12/SSI_20150812230953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8/12/SSI_20150812230953.jpg)
가장 유력한 방안으로 첫 번째 방안이 꼽히고 있다. 김동양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호텔롯데 단독으로 지주회사가 된다면 지배구조 최상단과 (신 회장 등) 대주주 일가의 간접지분이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자회사 최소 지분 확보 비용이 발생한다는 게 단점”이라고 분석했다.
두 번째와 세 번째 방안은 롯데호텔과 롯데쇼핑, 롯데제과가 인적분할을 해 계열사 지분을 많이 보유한 회사끼리 합병을 하고 지주회사와 사업회사로 나누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대주주 일가와 롯데장학재단 지배지분이 높고 다수 계열사에 대한 보유 지분율이 높은 롯데쇼핑과 롯데제과를 활용한다면 3개사 각각 인적분할과 지주회사 간 합병이 필요해 과정은 복잡하지만 비용 발생을 최소화하는 게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롯데그룹 내 롯데카드, 롯데손해보험, 롯데캐피탈 같은 금융 계열사들을 어떻게 처리하느냐다. 산업자본이 금융회사에 대해 의결권을 가진 지분을 4% 이상 보유할 수 없도록 한 금산분리 원칙에 따라 호텔롯데가 지주회사가 되면 금융 계열사의 지분을 매각할 수밖에 없다. LG그룹은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LG카드 등 금융계열사를 전부 매각하고 금융업을 포기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국회에 계류 중인 ‘중간금융지주회사제도’ 관련 법안 통과 여부에 따라 운명이 결정될 수 있다. 이 제도는 기업들의 지주회사 체제를 촉진시키기 위해 일반지주회사 아래 중간금융지주회사를 두고 그 아래에 금융 계열사들을 묶어 두는 방식이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5-08-13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