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쪽선 맞춤강의 한쪽선 기술실험… 메카트로닉스 허브 꿈꾼다
경남창원과학기술원에 있는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를 찾아간 지난 13일. 혁신센터는 창업 관련 강연과 시제품 제작, 창업상담 등으로 북적거리고 있었다. 보육공간과 작업공간의 문이 특이하게 생겨 눈길을 끌었다. 직원들이 투명한 재질로 된 셔터를 문 대신 내리고 올려서 차고처럼 드나들고 있었다. 애플이 차고에서 시작해 세계 최고의 기업이 된 것에 착안했다고 한다.
창원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에 입주한 3D 프린트 기업인 로보토리움 박기훈 대표가 13일 교육프로그램 참가자에게 3D 프린터 작업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창원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창원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창원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카템 대표 이태영 기술사가 센터의 도움을 받아 개발한 고속철도용 균열방지 제동디스크 부품을 살펴보고 있다.
창원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창원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교류공간에서는 부산, 울산, 경남 등 동남권 대학생 50여명을 대상으로 창업교육 강의가 한창이다. 강의를 듣는 대학생들의 진지한 모습에서 창업의 열의를 느낄 수 있었다. 이날 강의는 지난 4일부터 시작해 오는 11월까지 진행하는 ‘예비 청년 창업자 액셀러레이팅 지원사업’ 프로그램 가운데 하나였다.
경남혁신센터는 과학기술원 건물 2, 5층을 쓰고 있다. 면적은 1563㎡다. 최상기(61) 센터장은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가 문을 연 뒤 지금까지 창업 관련 강의를 듣거나 상담한 사람들이 2500여명에 이르며 갈수록 방문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소개했다.
센터에서는 창업과 관련한 강의가 수시로 열린다. 한 달에 한 번 각 분야의 전문가를 초빙해 강연회를 개최한다. 에디슨과 같은 창의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데 관심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매월 둘째 주 목요일 치킨을 주문해 먹으며 특강을 듣는 ‘에그 데이’(EGG DAY) 행사도 갖는다.
창업 절차를 잘 몰라 어려움을 겪는 예비 창업자들에게 관련 법률·특허·금융 등을 원스톱으로 처리해 준다. 상담에 앞서 온라인으로 궁금해하는 내용을 미리 파악한 뒤 맞춤 상담을 한다. 공익법무관과 변리사 1명이 상근하며 무료로 상담한다. 기업은행과 산업은행, 기술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등 금융기관에서도 출장 나와 창업자금 지원 등 금융 상담을 한다.
센터에는 면적 10㎡ 안팎인 창업 인큐베이트 공간 5개가 마련돼 있다.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갖춘 예비 창업자들이 입주해 자립하도록 도와주는 보육공간이다. 여기에 입주하지 못한 창업 준비자들을 위해 1인 사무 공간 10개도 마련됐다. 보육공간과 사무공간은 무료로 6개월 동안 이용할 수 있다.
예비 창업자들이 아이디어를 제품으로 만들어 볼 수 있는 ‘메이커 스페이스’라는 작업실도 있다. 3D 프린터를 비롯해 레이저 커팅 기계, CNC 가공기계, 3D 스캐너 등 각종 장비를 갖추고 있다. 사용료는 없다.
화물을 들어 올리는 설비에 들어가는 제동장치 제조 회사 창업을 준비하는 이종칠(63)씨는 “중소기업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창업 절차부터 자금지원까지 혁신센터가 많은 도움이 된다”고 반겼다.
경남혁신센터는 메카트로닉스 허브를 목표로 지난 4월 9일 문을 열었다. 경남은 1970년대 조성된 창원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기계산업 발전을 선도해 왔다. 그러나 생산설비가 낡고 연구개발이 부진, 한계에 부딪혔다. 기계산업이 미래 성장동력산업이 되려면 정보통신기술(ICT)과 결합해 기술을 혁신하는 게 시급해졌다. 경남을 기계·전기·전자 공학이 융합된 새로운 개념의 공학인 메카트로닉스 메카로 만드는 게 이 혁신센터의 핵심 업무다.
최 센터장은 “혁신센터가 창업을 꿈꾸는 사람들의 꿈을 이뤄 주고 우수한 기술이 있으면서도 판로를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인들에게 희망의 사다리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경남지역 특성에 맞춰 대한민국 메카트로닉스 산업 선도와 물산업 육성, 항노화 바이오산업 육성 등 3가지 분야를 집중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창원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2015-08-17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