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고 기름진 섭취”…설탕·기름·육류 ↑ 양곡 ↓

“달고 기름진 섭취”…설탕·기름·육류 ↑ 양곡 ↓

입력 2015-08-30 10:22
수정 2015-08-30 1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 30여년간 식단 서구화로 설탕·기름·육류 섭취가 늘고 양곡 섭취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식품수급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1인당 하루 전체 에너지 공급량은 1980년 2천486㎉에서 2013년 3천56㎉로 570㎉(22.9%) 증가했다.

품목별로 구성비를 보면 쌀·감자·콩 등 양곡 비중은 1980년 76.3%였으나 2013년 49.9%로 줄어들었다.

이 기간에 설탕류(4.5%→8.2%), 유지류(4.9%→17.1%), 축산물(5.6%→13.6%)은 그 비중이 늘었다.

설탕·유지류·동물성 식품을 합한 에너지 공급 비중은 2013년 기준 42.2%였다.

다만, 이 비중은 영국(55.9%)·프랑스(59.2%)·미국(64.2%)보다 낮고, 쌀이 주식인 일본(46.2%)·대만(50.1%)과 비교해도 다소 낮은 수준이다.

2013년 기준으로 식품군별 하루 에너지 공급량은 곡물 1천377㎉, 유지류 524㎉, 설탕류 250㎉, 육류 264㎉, 채소류 139㎉, 우유류 112㎉ 등으로 집계됐다.

항목별로 보면 국민 1인당 연간 설탕류 공급량은 1980년 10.3㎏에서 2013년 23.72㎏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유지류도 5㎏에서 20.76㎏으로 4배 이상 뛰었다.

육류(13.9㎏→49.2㎏), 계란(5.9㎏→10.3㎏), 우유(10.8㎏→61.4㎏) 등 축산물의 공급량이 모두 늘어났다.

이와는 달리 쌀(132.9㎏→77.8㎏), 보리(14.1㎏→0.94㎏), 감자·고구마 등 서류(21.5㎏→14.8㎏)는 공급량이 큰 폭으로 줄었다.

1980년부터 2013년까지 연평균 식품 공급량 증가율을 보면 쌀을 포함한 곡류(-0.9%)·서류(-1.1%)는 감소했고, 채소류(0.6%)·과실류(3.3%)·육류(3.9%)·유지류(4.4%)는 증가했다.

이 기간 1인당 하루 단백질 공급량은 73.6g에서 99.2g로 34.8% 증가했고, 지방 공급량은 36.3g에서 96.9g으로 166.9% 늘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