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앞의 이익보다 미래 ‘파이’ 키우기
‘빨리 가려면 혼자 가라. 그러나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상생 경영은 단기간의 실적보다 기업의 먼 미래를 고민하는 개념이다. 지속 가능한 경영 혹은 동반 성장이라는 말로 바꿔 써도 좋다. 시간과 비용이 투입되고 당장 눈에 띄는 효과가 없더라도 업(業)의 생태계를 공고히 하는 게 주된 목표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최근 발표한 ‘주요 대기업의 동반성장 추진현황과 인식실태’ 조사에 따르면 대기업 80곳 가운데 78곳이 협력업체와의 상생을 위한 전담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 2010년 9월 정부가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추진대책을 발표할 때와 비교하면 5년간 3배가 늘었다. 임직원 인사평가에 협력사와 동반성장 실적을 반영한 기업도 2010년 18개에서 올해 76개로 4배 이상 증가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표준하도급계약서를 사용하는 기업은 30개에서 74개로 두 배 늘었다. 상생 경영을 위한 인식의 틀은 어느 정도 갖춰졌다는 얘기다. 배명한 전경련 중소기업협력센터장은 “시장은 기업 간 경쟁에서 기업 생태계 간 경쟁으로 변화하고 있다”면서 “성공적인 동반 성장을 위해서는 미래의 파이를 키우는 방향으로 가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5-10-29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