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이긴 제약업계…3분기까지 매출 전년대비 11%↑

메르스 이긴 제약업계…3분기까지 매출 전년대비 11%↑

입력 2015-11-19 08:44
수정 2015-11-19 08: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의 여파에도 국내 제약사의 매출액이 전년보다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의료 분석평가 사이트 팜스코어는 올해 3분기까지 국내 상장 제약사 78곳(바이오. 원료의약품 포함)의 누적 매출액은 10조4천113억원으로 전년 동기(9조3천935억원)보다 10.8% 증가했다고 19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9천849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3.7% 늘었고, 순이익(7천377억원)도 전년도보다 18.6% 증가했다.

제약업계에는 메르스의 영향으로 올해 매출액이 대폭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컸었다.

5월20일 첫 메르스 환자 발생 이후, 6월 들어 환자 수가 급격히 늘면서 7월까지 병의원과 약국 등 의료기관을 찾는 일반인 환자 수가 대폭 줄었기 때문이다.

이경호 한국제약협회장은 메르스로 인한 제약업계의 피해액이 최대 3천억원에 이를 수 있다는 추정치를 내놓기도 했다.

당초 매출 부진은 3분기 회계에 반영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지만 실제 결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지난해 업계 최초로 연매출 1조원을 달성한 유한양행은 올해도 무난히 1조원 매출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 유한양행의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0.9% 오른 8천204억원으로 작년에 이어 매출액 1위 자리를 지켰다.

녹십자는 6천785억원(전년동기대비 8.1%↑)으로 매출액 2위, 대웅제약은 6천83억원(12.3%↑)으로 3위에 올랐다.

4위인 한미약품의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전년 동기(4천191억원)보다 36%나 증가해 5천698억원에 달했다. 최근 사노피와 맺은 5조원 규모 기술수출 계약의 계약금(4억 유로·약 5천억원)이 금년도 회계에 반영된다면 매출액 1위에 오를 수도 있다.

셀트리온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1천660억원)보다 15.5%나 증가한 1천917억원에 이르며 업계 1위를 차지했다. 3분기 누적 영업이익 2위인 녹십자(839억원)를 큰 차이로 따돌렸다.

업계의 관계자는 “환자 수가 줄어들면 그 타격을 고스란히 받는 병·의원과 달리 제약 업계는 고정적으로 병·의원에 납품하는 품목 등이 있어 메르스의 타격이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풀이된다”며 “제약업계는 원래 3분기 매출이 가장 높은 경향이 있는데 올해 메르스가 없었다면 더 높은 성적도 거둘 수 있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