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감사원 지적 받아들인다”

삼성서울병원 “감사원 지적 받아들인다”

입력 2016-01-14 17:09
수정 2016-01-14 17: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가 정보공유 않고 1번, 14번 환자 놓친게 큰 귀책 사유”

지난해 감염 관리 부실로 메르스 확산을 부추겼다는 사실이 감사원 감사에서 다시 한 번 확인된 삼성서울병원은 지적을 겸허히 받아들인다고 밝혔다.

삼성서울병원은 “명단 제출은 CCTV 확인 등 작성에 시간이 걸려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으나 감사원의 지적을 받아들인다”며 “앞으로 복지부의 추가 조사가 있다면 임하겠다”고 밝혔다.

단 평택성모병원에 대한 정보를 의료진에게 공유하지 않은 데 대해서는 “감사원도 이 건에 대해서는 삼성서울병원에 제재를 하지 않았다”며 “우리도 잘했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그 정보를 공유하지 않은 정부가 1번, 14번 등 환자를 놓친 것이 더 큰 귀책사유가 된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현재 병원 곳곳에서 급실 내 음압격리병상 설치, 병실 슬라이딩 도어(미닫이문) 설치 등 후속대책을 진행 중”이라며 “올 봄이면 모든 조치가 완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감사원은 삼성서울병원에 대해서 관련 법률에 따라 적정한 제재를 하도록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통보했다.

감사원은 ‘메르스 예방 및 대응실태’ 감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삼성서울병원이 슈퍼 전파자인 14번 환자의 접촉자 명단 중 일부를 지연해서 제출했다고 지적했다.

삼성서울병원은 14번 환자가 확진판정을 받은 직후인 5월31일 연락처가 포함된 접촉자 678명의 명단을 파악하고도 보건 당국에는 117명의 명단만 제출했다.

나머지 명단은 이틀 뒤인 6월2일 제출하는 등 방역 당국의 역학조사 업무에 협조하지 않았다.

명단 제출이 늦어지면서 방역 당국의 접촉자 파악이 지연되고, 이에 따라 메르스의 확산을 막을 기회를 놓쳤다는 것이 감사원의 지적이다.

또 삼성서울병원은 최초 메르스 환자인 1번 환자가 평택성모병원에 머물렀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으면서도 이 사실을 병원 의료진에게 공유하지 않았다.

1번 환자는 평택성모병원을 비롯해 여러 병원을 전전하다가 삼성서울병원에도 들렀다. 따라서 평택성모병원이 메르스 유행 우려가 있는 곳이라는 것을 삼성서울병원이 알았지만 이를 의료진들에게 알리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 결과 평택성모병원에서 온 14번 환자(35)가 사흘 동안 아무 격리 없이 삼성서울병원의 응급실에 머물렀다. 이 사흘 동안 14번 환자로부터 메르스 바이러스가 옮은 환자는 81명에 이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