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유가·증시 불안에 투자 못 해
8조원.지난해 12월 한 달 동안에만 KB국민·신한·우리·농협·IBK기업 등 5대 은행에 새로 들어온 개인예금 규모다. 이 돈은 적금도, 정기예금도 아닌 언제든 찾을 수 있는 요구불 통장에 들어왔다. 이자가 사실상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인데도 말이다. 증권가의 요구불예금인 머니마켓펀드(MMF)에도 12조원 넘는 돈이 몰렸다. 중국 증시 폭락과 국제유가 하락 등으로 불안감이 커지면서 돈들이 길을 잃어서다. 버스(투자처)를 갈아타지 못한 돈들은 정거장에서만 북적대고 있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1/19/SSI_20160119232435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1/19/SSI_20160119232435.jpg)
증권가도 상황은 비슷하다. 언제든 찾을 수 있고 사실상 원금 손실이 없는 머니마켓펀드(MMF)나 종합자산관리계좌(CMA)로 돈이 몰리고 있다. 지난 15일 기준 MMF 설정액은 105조 6854억원으로 지난달 말(93조 4063억원)보다 12조 2791억원(13.1%) 증가했다. 지난해 10월 말 46조 8007억원 수준이던 CMA 잔액은 올 들어 51조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두 상품 모두 양도성예금증서(CD)나 환매조건부채권(RP) 등 단기상품에 집중적으로 투자해 실세금리(시중의 자금 상황을 가장 잘 반영하는 금리)를 챙기는 상품이다.
이처럼 대기성 자금이 늘어나는 현상은 한동안 이어질 전망이다. 권우영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경기 불확실성은 갈수록 커지는데 마땅한 투자처는 나오고 있지 않다 보니 시중 자금의 단기 부동화가 더욱 빨라지고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이런 가운데 은행들은 ‘빗물 퍼담기’에 바쁘다. 한동안 구경조차 할 수 없었던 2%대 정기예·적금 등 특판 상품을 잇따라 부활시키고 우대금리도 앞다퉈 얹어 주고 있다. 요구불예금의 저축성예금 전환에 총력전을 펴고 있는 한 시중은행 직원은 “계좌이동제가 시범 시행된 지난해 11월만 해도 은행 간 고객 유치 경쟁으로 요구불예금은 ‘제로섬게임’(한쪽이 늘면 한쪽은 감소) 양상이었는데 연말부터 은행마다 예외 없이 3~4%가량 증가했다”면서 “빗물이 고였을 때 다소 비용이 들더라도 퍼 담는 게 상책”이라고 말했다. 다음달 은행 창구에서의 계좌 이동 신청이 허용(지금은 온라인에서만 신청 가능)되면 경쟁이 본격화되는 만큼 그 전에 최대한 덩치를 키워 놔야 충격이 완화될 것이라는 계산도 작용했다는 부연 설명이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6-01-2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