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시행 크라우드펀딩 투자 요령 문답

25일 시행 크라우드펀딩 투자 요령 문답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16-01-19 21:08
수정 2016-01-19 21: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반인은 중개업자 사이트서 발행 주식 매수 1년 내 매도 금지…전문 투자자에 맡기면 OK

오는 25일부터 크라우드펀딩이 본격 시행된다. 크라우드펀딩은 대중(크라우드)에게서 돈을 십시일반(펀딩) 모으는 것이다. ‘증권형’은 창업 초기 기업들이 다수의 소액투자자들에게서 자금을 조달하는 게 가능하다. 기업들이 증권시장에 상장하고 주주를 모으는 것과 비슷하지만 온라인 중개업체를 통해 소액으로도 투자할 수 있다는 게 차이점이다. 투자 방법을 문답으로 짚어봤다.

Q)어디에서 어떻게 투자할 수 있나.

A)온라인 소액투자 중개업자(크라우드펀딩 중개업체) 사이트에 들어가 중개업체가 발행한 기업들의 주식을 사면 된다. 안내 사이트 ‘크라우드넷’(www.crowdnet.or.kr)에 들어가면 공인된 크라우드펀딩 중개업체를 확인할 수 있다. 정식 중개업체는 오는 25일 금융위원회에 등록 절차를 마친다. ‘가짜’ 크라우드펀딩에 가입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Q)투자금액 제한은 없나.

A)투자 위험이 따르는 만큼 투자 한도가 정해져 있다. 일반인은 누구나 1년에 500만원까지 투자할 수 있다. 단, 같은 기업에 200만원 이상 투자할 수는 없다.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1년에 2000만원까지(기업당 1000만원 한도) 가능하다. 전문 투자자는 한도가 없다.

Q)중개업체 사이트에서 주식을 사고팔 수 있나.

A)크라우드펀딩 중개업체는 기업들의 주식을 발행만 할 뿐 일반 증권사들처럼 주식을 사고팔 수는 없다. 주식을 팔기 위해서는 금융투자협회(K-OTC BB)에 마련된 크라우드펀딩 회수시장 전용게시판에 매도 주문을 올리면 된다.

Q)이 사이트를 이용하면 언제든 주식을 털고 나갈 수 있다는 얘기인가.

A)그렇지는 않다. 모든 투자자들에게 ‘전매 제한’ 규제가 적용돼 주식을 산 지 1년 안에는 팔 수가 없다. 다만, 전문 투자자에게 주식을 넘길 때는 예외가 인정돼 언제든 팔 수 있다.

Q)벤처기업은 기업공개(IPO)를 하지 않는 데 믿을 만한 기업인지 어떻게 아나.

A)기업투자정보마당(www.ciip.or.kr) 사이트에 들어가면 유망 벤처기업들의 정보를 볼 수 있다. 중개업체 사이트를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정부는 200억원 규모의 매칭펀드를 조성해 펀딩 성공 가능성이 높은 기업이 더욱 클 수 있도록 함께 지원할 계획이다.

Q)후원형이나 P2P(개인 대 개인) 크라우드펀딩도 가능한가.

A)물론이다. 후원형은 일반 기부나 마찬가지이고 P2P는 개인 간 투자방식이다. 이미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6-01-20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