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라더니 결과는 2.6%’…경제전망 또 ‘장밋빛 헛다리’

‘4.2%라더니 결과는 2.6%’…경제전망 또 ‘장밋빛 헛다리’

입력 2016-01-24 10:09
수정 2016-01-24 10: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한은·연구소 성장률·물가 전망, 실적과 오차 커

한국은행은 2014년 1월에 발표한 경제전망보고서에서 2015년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4.0%로 전망했다. 석 달 뒤인 4월엔 기준연도 변경에 따라 4.2%로 높였다. 정부도 같은 해 9월까지 2015년 성장률 전망을 4%로 고수했다. 국내 기업들은 정부와 한은의 이런 경제전망을 토대로 다음해 사업계획을 수립했다.

하지만 지난해 실제 GDP 성장률은 2.6%에 그칠 것으로 확실시된다. 한은의 애초 전망치와는 무려 1.6%포인트나 차이가 난다.

연합뉴스가 24일 정부와 한은, 각 경제연구소가 발표했던 2015년 GDP 성장률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등 경제전망 수치를 실제 수치와 비교한 결과 성장률이 1∼1.6%포인트가량의 오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전망 수치가 실제와 큰 차이를 보이는 ‘장밋빛 전망’ 현상이 지난해에도 어김없이 반복된 것이다.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이자 최대 규모의 조사국을 보유한 한국은행은 작년 성장률을 4.2%로 전망한 뒤 2년간 계속 하향 조정했다.

2014년 10월엔 3.9%로 전망해 4.0% 선 밑으로 내렸고 작년 7월엔 3%대(2.8%)도 무너졌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14일 발표한 경제전망에서 “작년 경제성장률이 2.6%로 추산된다”고 말했다. 이는 추정치이긴 하지만 작년 성장률 집계가 마무리단계에 접어든 시점에 공개한 것이어서 오는 26일 발표되는 실제 성장률 수치와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망과 실적 간 오차는 물가도 마찬가지다.

한은이 2014년 1월에 발표한 2015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2.8%였다. 그해 연말까지도 2%대(2.4%) 상승률을 고수하다가 해를 넘기고 나서 전망치를 급격히 떨어뜨렸다. 국제유가의 급락세를 그제야 반영한 것이다.

최근엔 작년 소비자물가가 0.7% 오르는 데 그친 것으로 추산했다.

경제전망 수치가 틀리는 것은 비단 한은에 국한된 얘기가 아니다.

정부도 2014년 9월에 2015년 성장률을 4.0%로 전망했고 이후 낮추긴 했지만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가 불거진 작년 6월까지 3.1% 성장을 고수했다.

그러다 해당 연도가 다 끝난 작년 12월에 가서야 성장률의 ‘하방 위험’이 있다며 2.7%로 낮췄다.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작년 성장률을 애초 3.8%로 내다봤다가 작년 말 2.6%까지 계속 낮췄다.

LG경제연구원(3.9%→2.6%), 한국경제연구원(3.7%→2.5%), 금융연구원(3.7%→2.6%)도 전망치를 높게 잡았다가 시간이 갈수록 수치를 내리는 현상을 어김없이 반복했다.

국제통화기금(IMF)도 2014년 10월에 2015년 한국 경제성장률을 4.0%로 예상했다가 작년 10월 2.7%까지 내렸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3.8%(2014년 11월)에서 2.7%(2015년 11월)로 하향 조정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