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에 얼음밭 될뻔한 딸기밭…스마트폰이 살렸다

한파에 얼음밭 될뻔한 딸기밭…스마트폰이 살렸다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16-01-26 07:11
수정 2016-01-26 07: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종시 연동면에서 딸기를 재배하는 박정규(54)씨는 지난 24일 자정 가까운 한밤중에 요란하게 울리는 스마트폰 사이렌 소리를 듣고 잠에서 깼다.

영하 10도 미만으로 뚝 떨어진 바깥 공기 탓에 딸기 온실 안 수은주도 영상 6도 미만으로 내려갔다는 알람이었다. 딸기가 감기 몸살에 걸린 것처럼 시들해지기 일보 직전이었다.

“딸기 온실은 3중으로 돼 있다. 영상 17도의 지하수로 한 번 데우고 전열 기구로 한 번 더 데우는데, 24일 밤에는 찬 바람이 매서워 영상 5도까지 내려가더라. 평소에는 영상 7도 밑으로 안 떨어진다”

당시 지하수와 전열기 난방은 최대로 가동되고 있었다.

박씨는 부리나케 온실로 달려가 미리 준비해둔 알코올로 추가 난방을 했다. 작년 9월에 심어 한창 수확 중이던 약 2천500㎡ 규모 온실 3동이 하마터면 얼음밭이 될 뻔한 아찔한 순간이었다.

박씨는 “예전 같았으면 부부가 밤을 새우며 온실을 지키거나 잠결에 1년 농사를 망쳤을 것”이라며 “영상 6∼30도로 기온을 감시하는 스마트폰 앱 덕분에 피해를 막았다”고 안도했다.

박씨는 지난 2014년 12월 SK텔레콤이 지원하는 스마트 팜(Farm·농장) 서비스를 설치해 사용해왔다.

스마트 팜 서비스를 설치하면 전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온실 안 온도와 습도를 원격 감시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온실 천장에 카메라를 달아 실시간 영상도 볼 수 있다.

박씨는 “대전에 있는 처가를 방문해도 세종시 딸기 농장을 지켜볼 수 있어 편리하다”며 “해외 여행을 떠나도 외국에서 스마트폰으로 온실을 제어할 수 있다고 하더라”고 말했다.

기온이 영하 20도 가까이 떨어진 이번 혹한에 스마트 팜 덕분에 피해를 막은 농민은 박씨뿐이 아니다.

박씨처럼 세종시 연동면에서 농사를 짓는 배영범(57)씨도 스마트폰 앱으로 온실 외곽 곳곳에 설치한 CCTV 화면을 확인하면서 실제 적설량을 파악해 시설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었다.

배씨는 “요즘처럼 기온이 떨어질 때는 농작물 걱정으로 농장에 나와 밤을 지새우는 일이 많다”며 “이제는 집에서 농장을 지켜보다가 급한 상황에 맞춰 뛰어나올 수 있다”고 전했다.

현재 SK텔레콤의 스마트 팜 서비스는 세종시, 부여군, 논산시 지역의 500여개 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다. 회사 측은 농림축산식품부와 협력해 스마트 팜을 전국 시설원예 농가에 보급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