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50년 통계’ 분석
2014년 222만명… 39.6% 차지50년간 법인 94배 늘어 62만개

국세청이 7일 내놓은 ‘통계로 보는 국세청 50년’ 자료에 따르면 여성 개인사업자는 2006년 164만명에서 2014년 222만 4000명으로 35.6% 증가했다. 전체 개인사업자 중 여성 비중도 36.7%에서 39.6%로 높아졌다.
1966년 109억원을 거둬들였던 법인세수는 지난해 45조원으로 4131배 뛰었다. 소득세는 203억원에서 지난해 60조 7000억원으로 2991배 증가했다. 부가가치세도 시행 첫해인 1977년 2416억원에서 지난해 54조 2000억원으로 224배가 늘었다.
주요 세목의 납세자 수도 급증했다. 법인사업자 수는 1966년 6600개에서 2014년 62만 3400개로 94.5배 증가했다. 종합소득세 신고자 수는 1976년 40만 2000명에서 2014년 505만 3000명으로, 부가세 사업자 수는 1977년 82만 4000명에서 2014년 571만 4000명으로 각각 증가했다. 1966년 국내 38개에 불과했던 외국법인(국내지점)은 2014년 46.6배인 1770개로 늘어났다. 미국과 일본 법인이 각각 404개로 가장 많았고 중국은 107개였다.
2005년 처음 시행된 현금영수증은 첫해 18조 6000억원(4억 5000만건)이 발급됐는데, 지난해는 이보다 5.2배 늘어난 96조 6000억원(50억 4000만건)으로 집계됐다. 건별 평균 금액은 41만 3000원에서 19만 2000원으로 줄며 소액 거래까지 세원 양성화가 확대되는 모습이다.
주류 출고량은 1966년 73만 7000㎘에서 2014년 370만 1000㎘로 5배가량 증가했다. 50년 전에는 탁주(막걸리)가 전체 출고량의 73.7%(54만 3000㎘)를 차지하며 부동의 1위였지만 1988년 맥주가 처음 역전한 뒤 줄곧 자리를 지키고 있다. 2014년 출고량에서 맥주 비중은 58.7%(217만 3000㎘)로 ‘국민 술’로 자리매김했다.
세종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6-03-08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