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 설계방식 따라 수익률 차이
만기가 먼 선물은 가격변동 작고 만기 맞아 재투자 때도 손익 발생기간 수익 추이 유가와 다를 수도
# 주식투자 경력 8년차인 김준형(가명·34)씨는 최근 한 자산운용사의 원유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했다. 지지부진한 국내 증시에 주식투자로는 재미를 보기 힘들어졌다고 판단한 반면, 폭락을 거듭해 20달러에 진입한 원유는 투자 매력이 높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최근 원유 가격이 급등해 김씨는 괜찮은 수익을 올리고 있다. 그러나 뉴스에서는 원유가 40%나 급등했다는데 정작 김씨가 들고 있는 ETF 수익률은 그에 비해 턱없이 낮아 마냥 유쾌하지만은 않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3/09/SSI_20160309185040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3/09/SSI_20160309185040.jpg)
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날보다 1.40달러(3.7%) 떨어진 배럴당 36.5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달 11일 26.21달러까지 떨어졌지만 전날에는 37.90달러를 기록하며 불과 한 달도 안 돼 44.6%나 치솟았다.
그러나 한국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대표적인 원유 추종 ETF인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원유선물(H)’의 수익률은 같은 기간 11.76%에 불과했다. 연중 최저점이었던 지난 1월 21일과 비교해도 21.99% 상승한 것으로 WTI 상승폭의 절반 수준이었다.
이 종목은 NYMEX에 상장돼 거래되는 S&P의 WTI 원유선물 가격을 기초지수로 삼아 지수 변동률과 유사한 수익률을 내도록 설계된 일종의 펀드다. 즉 WTI의 가격을 거의 그대로 반영한다고 보면 된다.
다만 이 종목은 월별 WTI 선물가격 차이에 따라 만기가 가까운 선물 대신 만기가 먼 선물에 투자하기도 한다. 그런데 지난해 7월부터 지금까지는 올해 12월이 만기인 WTI 선물에 투자하면서 통상 최근 월물 가격으로 표시되는 WTI 가격과 차이가 벌어졌다. 보통 만기가 먼 선물은 만기가 닥친 선물보다 가격변동성이 작다.
이른바 롤오버(Roll Over) 효과도 기초자산 가격과 파생상품의 가격 차를 발생시킨다. 원유선물에는 만기가 있기 때문에 만기를 맞으면 다른 원유선물에 재투자하게 되는데 이때마다 선물가격 차이에 따른 손익이 발생한다. 이를 롤오버 효과라 부른다.
지난달 25일 상장된 신한금융투자의 상장지수증권(ETN)인 ‘레버리지 WTI 원유선물(H)’은 WTI 원유선물 일간수익률을 2배수로 추적하는 첫 레버리지 ETN이다.
이 종목의 경우 일간수익률을 2배씩 추적하는데 이 경우 일정 기간의 누적수익률은 기초자산의 누적수익률과 차이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가가 꾸준히 오른다면 마치 복리이자처럼 수익률이 누적되면서 기간수익률이 더 커지는 원리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6-03-1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