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할까요 기다릴까요… 오늘 출시 ‘ISA’ 체크 리스트

가입할까요 기다릴까요… 오늘 출시 ‘ISA’ 체크 리스트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6-03-13 22:48
수정 2016-03-14 00: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가 국민 재산을 불려주겠다며 야심 차게 준비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가 14일 출시한다. 은행과 증권사 등 33개 금융기관이 일제히 ‘총성 없는 전쟁’에 돌입했다. ISA에는 어떤 혜택이 있고, 가입하려면 무엇을 점검해야 하는지 13일 ISA의 머리글자를 통해 체크리스트를 정리했다.

이미지 확대
●Interest(이자) ISA는 절세가 가능한 ‘세(稅)테크’ 상품이다. 운용 기간 중 발생한 순이익(통산이익)의 200만원(총급여 5000만원 이상 근로자와 종합소득 3500만원 이상 사업자)까지 세금(15.4%)을 물리지 않는다. 200만원이 넘는 수익에 대해선 9.9%의 낮은 세금을 적용한다. 신동일 KB국민은행 도곡스타PB센터 부센터장은 “사회 초년생이라면 손해 볼 게 없으니 무조건 가입하는 게 좋다”면서 “세제 혜택 기준인 3∼5년을 채우지 못하고 해지해도 원래 내야 하는 세금(15.4%)이 붙는 것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세금 외 이자를 결정짓는 요인 중 하나는 수수료다. 금융권은 눈치작전 끝에 연 0∼1.0%라는 ISA 계좌 수수료를 정했다. 확정 수익을 보장하는 예금 위주의 포트폴리오는 0~0.3%, 파생결합증권처럼 원금손실 위험이 큰 초고위험 상품 포트폴리오는 0.8~1% 수준이다. 하지만 ‘차(수수료) 떼고 포(세금) 떼면 남는 게(운용수익) 없다’는 말이 나오는 만큼 가입 전에 수수료와 모델 포트폴리오 등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Specialties(특징·특전) ISA는 가입 문턱이 낮다. 재형저축과 소장펀드가 가입대상을 ‘연 소득 5000만원 이하 근로자’로 제한한 것과 달리 근로자와 자영업자 중 직전연도 금융소득이 2000만원 이하면 누구나 들 수 있다. 종류는 크게 2가지다. 고객이 투자 상품을 직접 결정하는 ‘신탁형’과 금융사가 투자자에게 모델 포트폴리오(MP)를 제시하고서 투자권을 위임받는 ‘일임형’이 있다. 증권사는 14일부터 신탁형과 일임형을 모두 팔 수 있지만, 은행은 우선 신탁형만 팔 수 있다. 은행은 이르면 다음달부터 일임형 판매가 가능하다.

또 석 달마다 일임형 ISA의 모델 포트폴리오 운용 ‘성적표’가 나온다. 어떤 회사가 돈을 잘 불리는지 지켜봤다가 결정해도 된다. 단 예금 위주의 신탁형 ISA에 가입할 예정이라면 조기 가입자를 위한 고금리 특판 상품이 있으니 빨리 가입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All in one(하나로) ISA는 한 계좌에 예·적금, 주식형·채권형 펀드, 상장지수펀드(ETF), 주가연계증권(ELS) 등 여러 금융상품을 한 바구니에 담을 수 있다. 덕분에 쉽게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가입하려면 근로·사업소득 원천징수영수증, 근로·사업소득 지급 확인서, 소득금액·사업자등록 증명원 중 1개를 금융기관에 제출해야 한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6-03-14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