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교에서 수행평가의 성적 반영률을 늘리는 방안이 논의되는 가운데 학부모 10명 가운데 7명가량은 이런 방안을 긍정적으로 바라본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31일 영어교육 전문기업 윤선생에 따르면 이달 25∼29일 초등학생 이상 자녀를 둔 학부모 485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더니 응답자의 67.8%가 수행평가 확대방안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답변 유형별로 나눠보면 51.8%는 ‘일부 과목만 허용하는 조건으로 찬성한다’고 답했고, 16.0%는 ‘찬성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반대한다’는 대답은 32.2%였다.
수행평가 확대방안을 찬성하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절반 이상이 ‘학습 참여율·학습 향상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64.4%)와 ‘아이의 창의력을 높여줄 것 같아서’(54.4%)를 꼽았다.
‘아이의 잠재력을 개발할 수 있을 것 같아서’(31.9%), ‘현 지필평가 방식을 반대해서’(22.8%), ‘내 아이가 수행평가를 잘해서’(1.8%) 등의 답변도 있었다.
수행평가로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과목(복수응답)으로는 음악·미술·체육 등 예체능(69.6%)을 꼽은 학부모가 가장 많았다. 이어 과학(42.9%)과 영어(42.6%), 사회(37.7%), 국어(37.4%)가 뒤를 이었다.
수행평가 확대를 반대하는 이유(복수응답)로는 ‘공정한 평가가 어려울 것 같아서’(98.1%)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부모에게 가중될 시간과 비용부담 때문’(73.1%)이라는 응답과 ‘현재의 수행평가가 원래 취지처럼 창의력 평가가 아니기 때문’(62.2%)이라는 응답도 많았다.
수행평가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과목(복수응답)으로는 국어(73.7%), 영어(72.4%), 수학(67.9%) 등 주요과목이 주로 꼽혔다.
평소 자녀의 수행평가를 직접 도와준다는 학부모는 43.1%였는데 수행평가를 돕는 이유로는 ‘아이의 성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41.0%)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사교육으로 수행평가를 준비한다는 응답도 36.7%에 달했다. 현재 도움을 받는 과목(복수응답)은 ‘영어’(69.4%)가 가장 많았다.
앞으로 수행평가가 확대되면 ‘사교육을 늘린다’는 답변은 33.9%였고, ‘늘리고 싶으나 여유가 없다’(31.4%)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연합뉴스
31일 영어교육 전문기업 윤선생에 따르면 이달 25∼29일 초등학생 이상 자녀를 둔 학부모 485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더니 응답자의 67.8%가 수행평가 확대방안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답변 유형별로 나눠보면 51.8%는 ‘일부 과목만 허용하는 조건으로 찬성한다’고 답했고, 16.0%는 ‘찬성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반대한다’는 대답은 32.2%였다.
수행평가 확대방안을 찬성하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절반 이상이 ‘학습 참여율·학습 향상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64.4%)와 ‘아이의 창의력을 높여줄 것 같아서’(54.4%)를 꼽았다.
‘아이의 잠재력을 개발할 수 있을 것 같아서’(31.9%), ‘현 지필평가 방식을 반대해서’(22.8%), ‘내 아이가 수행평가를 잘해서’(1.8%) 등의 답변도 있었다.
수행평가로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과목(복수응답)으로는 음악·미술·체육 등 예체능(69.6%)을 꼽은 학부모가 가장 많았다. 이어 과학(42.9%)과 영어(42.6%), 사회(37.7%), 국어(37.4%)가 뒤를 이었다.
수행평가 확대를 반대하는 이유(복수응답)로는 ‘공정한 평가가 어려울 것 같아서’(98.1%)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부모에게 가중될 시간과 비용부담 때문’(73.1%)이라는 응답과 ‘현재의 수행평가가 원래 취지처럼 창의력 평가가 아니기 때문’(62.2%)이라는 응답도 많았다.
수행평가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과목(복수응답)으로는 국어(73.7%), 영어(72.4%), 수학(67.9%) 등 주요과목이 주로 꼽혔다.
평소 자녀의 수행평가를 직접 도와준다는 학부모는 43.1%였는데 수행평가를 돕는 이유로는 ‘아이의 성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41.0%)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사교육으로 수행평가를 준비한다는 응답도 36.7%에 달했다. 현재 도움을 받는 과목(복수응답)은 ‘영어’(69.4%)가 가장 많았다.
앞으로 수행평가가 확대되면 ‘사교육을 늘린다’는 답변은 33.9%였고, ‘늘리고 싶으나 여유가 없다’(31.4%)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