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은행 등 금융권 대출을 벗어난 P2P(peer to peer·개인 간) 시장이 핀테크의 일환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장외주식을 담보로 한 대출 상품이 등장해 눈길을 끈다.
레인핀테크가 최근 출시한 이 상품은 일반적인 P2P 대출과는 달리 주식투자자를 주 고객으로 설정했다. 장외주식의 경우 상장주식과는 달리 거래가 활발하지 않아 투자 시 자금이 장기간 묶이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장외주식 보유자들에게 장외주식을 담보로 대출을 시행한 것이다.
장외주식을 담보로 할 경우 거래량 없이 가격이 급변해 부실이 커질 우려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레인핀테크 관계자는 “주가 하락 시 반대매매 채권추심을 진행해 부실률을 5년 안에 0%로 낮추는 것이 목표다”라며 부실 위험을 낮췄다고 설명했다.
레인핀테크에 따르면 출시 한 달이 채 안 된 이 상품은 벌써 투자금 12억원을 유치했다. P2P 대출서비스 출시 초기에는 신용대출이 대부분이었지만 최근 투자 대상이 다양화되면서 수익률과 안전성 면에서도 체계화되는 모습이다.
이처럼 P2P 대출은 제2금융권에 비해 비교적 낮은 금리로 돈을 빌릴 수 있고, 돈을 빌려주는 사람도 다른 투자 상품에 비해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어 점차 투자자들의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