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첫 회의 새 금통위 촉각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번 금통위 전망을 내놓은 13개 증권사 중 NH투자증권을 제외한 12곳이 기준금리 동결에 손을 들었습니다. 신한금융투자와 교보증권은 깜짝 인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지만 일단 동결에 무게중심을 뒀습니다.
최근 기업 구조조정을 위한 정부와 한은의 정책 공조 움직임에도 전문가들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낮게 본 것은 신임 위원들의 적극적인 목소리가 나오기엔 아직 이르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윤여삼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이번 회의에선 기준금리 인하보다 기업 구조조정에 발권력을 동원해 협조할지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기준금리보단 지급준비율 인하를 기대하는 게 현실적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김지만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지급준비율 인하는 기준금리를 조정해 원화 약세를 유도한다는 미국의 오해를 피할 수 있고, 구조조정 과정에서 자금 조달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기업에 대한 대출 여력을 높일 수 있다”며 “금리 인하 효과가 의문시되는 상황에선 지급준비율 인하와 정부의 대출 유도 조합이 효과적”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전문가들의 분석과 무관하게 시장은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을 키워 가고 있습니다. 이날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1.412%까지 떨어져 역대 최저치를 하루 만에 경신했습니다. 지난주 현물시장에선 외국인이 2년 이하 단기채권 8100억원어치를 집중 매수했지요.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3년 이상 10년 이하 중장기 채권을 주로 사들이는 외국인이 단기물을 매수한 건 기준금리 인하 베팅에 나섰기 때문”이라고 해석했습니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16-05-1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