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 고단한 미생 언젠가 완생… ‘꿈’ 더 나은 나를 더 멋진 우릴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5/26/SSI_20160526175525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5/26/SSI_20160526175525.jpg)
구글이 가장 경계하는 인간형은 ‘고개만 끄덕이는 사람’이다. 회의 때 아무 말도 하지 않거나 상사의 말에 무조건적으로 따르는 사람은 기업의 혁신에 아무런 도움도 주지 못한다. 에릭 슈밋 알파벳(구글 지주회사) 회장과 조너선 로젠버그 구글 고문이 쓴 ‘구글은 어떻게 일하는가’(2014)는 구글이 글로벌 정보기술(IT) 공룡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핵심 동력으로 직원들의 ‘전문성과 창의력’을 꼽는다. 구글이 자유로운 업무환경과 유연한 조직문화를 추구하는 가장 큰 이유가 여기에 있다. 최고경영자(CEO)에서 말단 사원까지 한데 부대끼면서 소통하고 부딪치는 미국 실리콘밸리 벤처기업의 문화는 우리나라에서는 상상하기 힘든 게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기업의 수직적, 위계적인 조직문화에도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다. 야근과 회식을 줄이고 휴가를 늘려 일과 휴식의 균형을 맞춤은 물론 불필요한 회의와 보고 줄이기, 직원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독려 등 유연하고 수평적인 조직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이 같은 과정에서 직원의 아이디어가 실제 사업으로 이어지고 업무 효율을 높이는 등 실제 성과를 거두는 사례도 늘고 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6-05-2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