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선명도’ 명시 의무화
LG “RGBW 방식 고품질 인정”삼성 “낮은 화질 표기하란 의미”
TV 디스플레이 해상도에 대한 국제 기준이 도출된 데 대해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엇갈린 해석을 내놓으면서 양사 간 해묵은 ‘RGBW(적녹청백) 논쟁’이 재현되고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국제 디스플레이 계측위원회(ICDM)는 최근 정기총회를 열고 그동안 4K 초고해상도(UHD)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RGBW 방식의 디스플레이와 관련해 ‘화질 선명도’ 값을 반드시 수치로 표기해야 한다고 결정했다. 기존에는 50%만 넘으면 별도의 표시를 하지 않아도 됐지만, ICDM의 이번 결정에 따르면 앞으로는 화질 선명도 측정값을 반드시 표기해야 한다.
이를 두고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이날 각각 다른 해석을 내놓으며 공방을 이어갔다. LG전자는 보도자료를 내고 “ICDM의 결정은 (LG전자가 채택하는) RGBW가 화질이 좋은 4K로 인정받았다는 의미”라고 주장했다. 반면 삼성전자는 “RGBW는 (삼성의 RGB 방식보다) 화질이 떨어지는 제품이란 것을 명기하라는 의미”라고 말했다. LG전자가 채택하는 RGBW 방식 패널의 화질 선명도는 평균 60%, 삼성전자의 RGB 방식은 평균 95%로 알려졌다.
LCD 패널은 적색(R), 녹색(G), 청색(B)의 화소를 조합해 색상을 표현한다.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기 때문에 백라이트를 사용한다. RGBW는 여기에 백색(W) 화소를 더해 밝기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백색은 색상을 표시하지 못해 해상도를 표기할 때 제외됐다. 삼성전자는 그동안 RGBW 패널이 전체 화소의 4분의3만 실제 색을 표현하므로 RGBW는 UHD 규격인 4K가 아닌 3K 해상도에 불과하다고 주장해 왔다.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2016-05-27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