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체감 퇴직 나이’는 50.9세…19%만이 정년보장 믿어

직장인 ‘체감 퇴직 나이’는 50.9세…19%만이 정년보장 믿어

입력 2016-06-01 15:20
수정 2016-06-01 15: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60세 정년시대’ 잡코리아 설문…대기업 48.8세·공기업은 54.8세66% “현재의 고용상태에 불안감 느낀다”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정년 60세 시대’가 시작됐다고 하지만 정작 직장인들이 체감하는 본인의 정년은 50세를 겨우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정년까지 고용을 보장받을 수 있을 거라 믿는 직장인은 5명 중 1명꼴에 그쳤다.

취업포털 잡코리아는 최근 남녀직장인 1천405명을 대상으로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했을 때 몇 세까지 회사생활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가’라고 설문한 결과 평균 50.9세로 조사됐다고 1일 밝혔다.

남성은 평균 51.7세, 여성은 49.9세였다.

공기업은 54.8세, 중소기업 50.8세, 대기업 48.8세로, 재직 중인 기업 형태별로 차이를 보였다.

직급별로는 중간관리자 역할을 하는 대리·과장·차장급의 예상 퇴직 시기가 이른 편이었다. 사원급은 51.7세, 대리급 49.3세, 과장급 50.2세, 차장급 50.1세, 부장급 51.4세, 이사(임원)급 51.3세로 나타났다.

서비스직에 근무하는 이들은 퇴직 연령을 평균 53.1세로 예상해 다른 직무보다 오래 일할 것으로 내다봤다. 생산·기술직(52.8세)과 영업·영업관리직(51세), 재무·회계직(50.2세)도 퇴직 예상 시기가 늦은 편이었다.

반면 인사·총무직(49.7세), 마케팅·홍보직(49.4세), 기획직(48.6), IT·정보통신직(47세), 디자인직(47세)은 50대 이전에 회사를 나갈 것이라도 봤다.

응답자의 66%는 ‘현재의 고용상태에 불안감을 느낀다’고 답했다.

‘정년 때까지 고용을 보장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응답자는 18.6%에 그쳤다.

전체 응답자의 73%는 ‘정년이 보장되는 공무원 등으로 직업 전환을 생각해 본 적이 있다’고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