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절감은 경영 전략.’ 전력 소비량이 급증하는 한여름을 앞두고 기업들이 보다 ‘스마트’한 방식으로 에너지 관리에 나섰다. 절전·절약 일변도 정책은 옛말, 기업들은 적극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통제하고 에너지 저감 장치를 도입했다. 아예 에너지 절감 설비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보고 관련 사업을 추진하는 곳도 늘어나는 추세다. 정보통신기술(ICT)과 나노기술(NT)을 활용해 새는 에너지를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솔루션이 미래 사업 모델로 각광받는 분위기 속에서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제조 기업은 공정 중 에너지 누수를 막는 방식으로, 통신 기업은 스마트한 전력·통신 체계를 갖추는 방식으로, 물류기업은 공차율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에너지를 관리한다. 대부분의 사업 분야에서 에너지 절감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도입된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첫 정산일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23일 기업들은 ‘에너지 경영’의 필요성을 절감하는 눈치다. 미래 신기술을 빨리 습득하고 적용하는게 에너지 경영의 한 축이라면, 다른 축은 임직원들의 인식 변화에서 비롯된다. 에너지 절감이 임직원들의 습관과 상식이 되도록 기업들은 환경 관련 이벤트를 벌이고 공공기관과의 협업을 추진하고 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6-06-24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