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사기범 ‘목소리 현상수배’…포상금 1천만원

보이스피싱 사기범 ‘목소리 현상수배’…포상금 1천만원

입력 2017-01-26 09:17
수정 2017-01-26 09: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바로 이 목소리’ 5명 공개…“중고나라 아세요?” 피해자에 접근

금융감독원이 26일 여러 차례 신고된 보이스피싱 사기범 5명의 목소리를 공개했다.

목소리의 주인공을 검거하는 데 기여한 제보자에게는 1천만원을 신고 포상금으로 지급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그간 국민들이 녹음한 보이스피싱 사기범의 실제 목소리를 수집해 ‘그놈 목소리’라는 이름을 붙여 공개해왔다.

그러나 단순히 목소리를 공개하는 데 그치고, 너무 많은 녹음파일이 올라오면서 범죄자 실제 검거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자 새로운 방법을 고안했다.

국립과학수사원과 손을 잡고 머신러닝(기계학습)으로 목소리를 분석, 보이스피싱을 여러 차례 한 사기범들을 특정한 뒤 이들의 목소리에 ‘바로 이 목소리’라는 이름을 달아 공개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5월 처음으로 9명의 목소리가 공개된 데 이어 이날 5명의 목소리 파일이 ‘보이스피싱 지킴이(phishing-keeper.fss.or.kr) 홈페이지에 추가로 올라왔다.

6차례 신고된 한 남성은 “중고나라 사이트 아시죠?”라며 피해자에게 접근하는 수법을 썼다.

그는 “중고나라 사이트를 통해 사기를 친 일당을 구속했는데, 검거 현장에서 본인 명의로 된 대포통장이 발견됐다”며 피해자를 속였다.

금감원은 보이스피싱 지킴이 홈페이지에서 실제 사기범의 목소리를 들어보고, 사기범의 인적 사항을 안다면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설 명절을 앞두고 급전이 필요한 서민들에게 “햇살론 등 정부지원자금을 대출해주겠다”고 속이는 수법도 기승을 부릴 수 있다.

금감원은 대출 작업비, 신용등급 상향 조정비 등 다양한 명목으로 개인계좌 입금을 요구하면 100% 사기이니 주의해달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