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새 단독주택 가격 4.75% 상승… 제주 18%↑

1년새 단독주택 가격 4.75% 상승… 제주 18%↑

류찬희 기자
입력 2017-02-01 11:26
수정 2017-02-01 11: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토부 전국 표준단독주택 22만가구 가격 공시

 지난해 전국 표준단독주택 가격이 4.75% 상승했다. 국토교통부는 1월 1일 기준 전국 표준단독주택 22만가구에 대한 가격을 2일 공시한다고 1일 밝혔다. 상승폭은 지난해(4.15%)보다 다소 커졌다.
이미지 확대
최근 부동산시장에서 단독주택단지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것은 물론 서울로 출퇴근하기 가깝고 각종 교육, 생활인프라가 완비된 덕분이다. 트리플힐스 동백 조감도.
최근 부동산시장에서 단독주택단지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것은 물론 서울로 출퇴근하기 가깝고 각종 교육, 생활인프라가 완비된 덕분이다. 트리플힐스 동백 조감도.
 표준단독주택 가격은 지방자치단체가 전국 400만 가구에 이르는 개별단독주택 가격을 매기는 기준이며, 국토부가 22만 가구를 선정, 한국감정원이 현장 조사를 거쳐 조사한 가격이다. 지자체는 표준단독주택 가격을 기준으로 인근 개별 단독주택 가격을 매겨 4월말 공시한다.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제주도로 18.03% 상승했다. 외국인 투자유치 증가, 제2신공항건설, 대규모 리조트단지 건설 등 개발사업이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 부산(7.78%)도 동부산관광단지 조성, 동해남부선복선전철 등의 영향을 받아 상승 폭이 컸다. 세종(7.22%)은 정부청사 이전완료 이후 도시개발이 성숙하고 단독주택 수요가 증가하면서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다.

반면 거제(0.36%), 울산 동구(0.70%)는 조선경기 침체로 지역경기가 가라앉으면서 집값도 오르지 않았다. 광역지자체 가운데는 대전 단독주택 가격 상승폭(2.56%)이 가장 적었다.

 가장 비싼 집은 서울 용산구 이태원 고급주택지에 자리잡은 단독주택(지상 1층, 지하 2층)으로 143억원을 기록했다. 대지 1758㎡, 연면적 2861㎡로 지난해(129억원)에 이어 올해도 표준주택 최고가를 기록했다. 지난해 개별단독주택 가운데 가장 비싼 집(177억원)으로 꼽혔던 이태원 단독주택은 올해도 가장 비싼 집에 오를 전망이다. 최저가격은 전남 영광 낙원면 송이길에 있는 주택(94만원)으로 조사됐다.

 조사 대상 주택의 86.8%(19만 969가구)는 2억 5000만원 이하였고, 6억원을 넘는 단독주택은 1.8%(4026가구)로 분석됐다. 15억원 이상 비싼 단독주택은 서울(267가구), 경기(13가구)에 집중됐다. 재산세와 각종 부담금 등은 확정된 개별공시지가를 기준으로 매긴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