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전국 표준단독주택 22만가구 가격 공시
지난해 전국 표준단독주택 가격이 4.75% 상승했다. 국토교통부는 1월 1일 기준 전국 표준단독주택 22만가구에 대한 가격을 2일 공시한다고 1일 밝혔다. 상승폭은 지난해(4.15%)보다 다소 커졌다.![최근 부동산시장에서 단독주택단지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것은 물론 서울로 출퇴근하기 가깝고 각종 교육, 생활인프라가 완비된 덕분이다. 트리플힐스 동백 조감도.](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10/18/SSI_20161018092837_O2.jpg)
![최근 부동산시장에서 단독주택단지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것은 물론 서울로 출퇴근하기 가깝고 각종 교육, 생활인프라가 완비된 덕분이다. 트리플힐스 동백 조감도.](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10/18/SSI_20161018092837.jpg)
최근 부동산시장에서 단독주택단지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것은 물론 서울로 출퇴근하기 가깝고 각종 교육, 생활인프라가 완비된 덕분이다. 트리플힐스 동백 조감도.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제주도로 18.03% 상승했다. 외국인 투자유치 증가, 제2신공항건설, 대규모 리조트단지 건설 등 개발사업이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 부산(7.78%)도 동부산관광단지 조성, 동해남부선복선전철 등의 영향을 받아 상승 폭이 컸다. 세종(7.22%)은 정부청사 이전완료 이후 도시개발이 성숙하고 단독주택 수요가 증가하면서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다.
반면 거제(0.36%), 울산 동구(0.70%)는 조선경기 침체로 지역경기가 가라앉으면서 집값도 오르지 않았다. 광역지자체 가운데는 대전 단독주택 가격 상승폭(2.56%)이 가장 적었다.
가장 비싼 집은 서울 용산구 이태원 고급주택지에 자리잡은 단독주택(지상 1층, 지하 2층)으로 143억원을 기록했다. 대지 1758㎡, 연면적 2861㎡로 지난해(129억원)에 이어 올해도 표준주택 최고가를 기록했다. 지난해 개별단독주택 가운데 가장 비싼 집(177억원)으로 꼽혔던 이태원 단독주택은 올해도 가장 비싼 집에 오를 전망이다. 최저가격은 전남 영광 낙원면 송이길에 있는 주택(94만원)으로 조사됐다.
조사 대상 주택의 86.8%(19만 969가구)는 2억 5000만원 이하였고, 6억원을 넘는 단독주택은 1.8%(4026가구)로 분석됐다. 15억원 이상 비싼 단독주택은 서울(267가구), 경기(13가구)에 집중됐다. 재산세와 각종 부담금 등은 확정된 개별공시지가를 기준으로 매긴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