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불똥’…벌써부터 뛰는 소·돼지고기값

‘구제역 불똥’…벌써부터 뛰는 소·돼지고기값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7-02-10 22:22
업데이트 2017-02-11 00: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월보다 6.1%·7.6%씩 올라

구제역이 확산 양상을 보이면서 소고기와 돼지고기 가격이 들썩이고 있다. 구제역 백신을 ‘전가의 보도’처럼 내세웠던 정부가 ‘제로베이스’에서 방역 대책을 다시 세우고 있다. 최악의 경우 경기 연천에서 발생한 A형 구제역을 막을 백신을 구할 수 없다는 전제하에 소독 강화, 소·돼지 접촉 차단 등 물리적 방어에 힘을 쏟겠다는 얘기다.

구제역 위기 경보가 최고 수준인 ‘심각’ 단계로 격상되고 가축시장이 일시 폐쇄되면서 축산물 도매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10일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9일 한우 등심 1등급과 돼지고기 1등급의 ㎏당 도매가격은 각각 4만 6330원과 4714원으로 지난달 31일보다 6.1%, 7.6% 올랐다. 업계에서는 대형 유통상인들이 구제역 여파로 물량을 구하기 어려워질 것에 대비해 최근 일주일 사이 소·돼지고기를 미리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이날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고 구제역으로 소·돼지고기 수급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필요하면 수입을 통한 공급 확대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중간 유통상의 사재기와 축산물 가격 상승을 핑계로 한 가공식품의 편승 인상도 감시하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8일 경기 연천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젖소 농가 반경 10㎞를 특별 예찰지역으로 정하고 농식품부와 경기도, 연천군 방역관 등 4~5명으로 구성된 특별 방역팀을 급파했다. 이 지역 74개 돼지 사육농가에 대해서는 군·경 인력의 협조를 받아 소독 등 방역 조치를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연천지역 사수’와 ‘돼지 전염 방지’를 구제역 확산 차단의 핵심으로 보고 있다. 연천 구제역 농가는 충북 보은, 전북 정읍(이상 O형)과 달리 국내에서 드문 A형 바이러스에 감염됐다. 비축된 A형 백신이 90만개로 전국 소 사육 규모(330만 마리)에 크게 못 미치고, 이마저도 현재 진행 중인 유전자 분석 과정에서 ‘연천 A형’ 바이러스에 약효가 없다고 판단될 경우 백신 정책에 기댈 수 없게 된다.

당국은 구제역 전파 속도가 소보다 훨씬 빠른 돼지 농가로 A형 구제역이 번지는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 군 부대를 동원해 연천 내 주요 도로를 지키고 있다. 돼지에 놓을 A형 백신의 국내 비축량은 150만개로 전체 돼지 사육 규모(1100만 마리)의 10% 정도뿐이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02-11 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