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홈피 보유비율보니 IT강국 이미지와는?

국내기업 홈피 보유비율보니 IT강국 이미지와는?

박현갑 기자
박현갑 기자
입력 2017-02-12 14:57
수정 2017-02-12 14: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OECD 33개국 중 28위에 그쳐

정보통신기술(ICT)강국이라는 우리나라 기업의 인터넷 홈페이지 보유 비율이 충격적이다.

12일 OECD의 디지털경제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기준 한국의 기업 홈페이지 보유 비율은 61.3%였다.

비교 대상 33개국 중 헝가리와 함께 공동 28위로 OECD 평균(76.2%)보다 낮았다. 종업원이 10명 이상인 제조업과 비(非)금융 시장 서비스업 기업들이 조사대상이다.

이는 5년 전 보다 더 떨어진 수준이다. 2009년 한국 기업의 홈페이지 구축 비율은 59.7%로 비교 대상 32개국 중 24위였으며 당시 OECD 평균은 69.3%였다.

OECD 평균이 5년새 올랐으나 우리나라는 제자리 걸음에 그치면서 순위는 더 떨어졌다.

2014년 기준 한국 기업의 홈페이지 구축 비율을 기업 규모별로 보면 종업원 수 10∼49명인 기업 58.0%, 종업원 수 50∼249명인 기업 77.7%, 종업원 수 250명 이상인 기업 87.7%였다. OECD 평균은 각각 72.6%, 87.7%, 93.6%였다.

초고속인터넷 보급률이나 통신서비스의 속도는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 수준이다. 하지만 ICT를 비즈니스에 실제로 활용하는 정도를 보여 주는 기업의 홈페이지 보유 비율은 역설적으로 매우 낮은 셈이다.

이에대해 국내 기업 관계자는 “대기업들이야 다르겠지만 중소기업들의 경우, 홈페이지를 구축한다고 하더라도 실제 거래는 직접 만나야 이뤄지는 등 홈피 관리가 비지니스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인식을 하는 경향이 많기때문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