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만 벤처기업 시대…10곳중 6곳, 3년도 못버텨

3만 벤처기업 시대…10곳중 6곳, 3년도 못버텨

입력 2017-02-15 09:22
수정 2017-02-15 09: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OECD 26개국 중 생존율 25위…“투자생태계·판로 미비 탓”

국내 벤처기업 10개 중 6개는 3년 이내에 문을 닫는 것으로 드러났다. 벤처투자 생태계가 미비한 데다 판로 개척의 어려움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5일 ‘통계로 본 창업생태계 제2라운드’ 보고서에서 “지난 10년간 진입규제 완화 등에 힘입어 ‘3만 벤처시대’가 열리는 등 창업 1라운드는 성공을 거뒀다”고 평가한 뒤 “하지만 벤처기업 중 62%는 3년을 못 버티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창업 장벽은 지난 10년간 크게 낮아졌다. 창업 등록은 그간 12단계에서 2단계로 축소됐고, 창업에 걸리는 시간도 22일에서 4일로 줄었다. 스타트업의 천국인 미국(5.6일)도 앞질렀다.

이러한 창업지원 인프라에 힘입어 벤처기업 수는 사상 최대인 3만 개를 넘어섰다.

하지만 창업 3주년을 넘기는 기업은 전체의 38%에 불과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스웨덴(75%), 영국(59%), 미국(58%), 프랑스(54%), 독일(52%) 등에 비해 크게 뒤진다. 조사 대상 26개국 중 거의 꼴찌인 25위 수준이다.

‘창업 2라운드 진입’을 가로막는 장벽으로는 민간 중심 벤처투자 생태계 미비와 판로 개척난 등이 꼽혔다.

실제로, 민간 벤처투자를 나타내는 ‘엔젤투자’ 규모는 2014년 기준 834억 원으로 미국(25조 원)의 0.3%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미국 나스닥 상장에는 6.7년 걸리지만, 한국 코스닥 상장에는 평균 13년이 걸린다”며 “법인 사업자의 80% 이상이 10년 안에 문 닫는 상황에서 13년 후를 기대하며 자금을 대는 투자자는 찾기 힘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해외에서 본 한국 벤처의 투자매력도 역시 낮은 수준이다. 전 세계 ‘벤처시장 매력도’를 발표하는 스페인 나바다 경영대학원이 M&A(인수·합병)시장, 금융시장 성숙도 등으로 벤처투자 매력도를 평가한 결과, 한국은 미국의 80% 수준에 불과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창업 소요시간이 여권 발급시간보다 빠를 정도로 환경이 개선돼 기술력 높은 혁신벤처들이 시장에 쏟아져 나오고 있다”며 “대기업은 M&A를 통해 미래 신기술·신제품을 수혈받고, 벤처기업은 민간투자를 바탕으로 새로운 사업에 도전할 수 있는 상생의 생태계 조성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