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쇄신안 핵심은 계열사 자율경영·정경유착 차단

삼성 쇄신안 핵심은 계열사 자율경영·정경유착 차단

입력 2017-02-28 10:26
업데이트 2017-02-28 1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영수 특별검사팀의 수사가 28일 공식 종료됨에 따라 삼성그룹이 미래전략실(미전실) 해체를 비롯한 경영쇄신안을 발표한다.

삼성은 이르면 이날 오후 경영쇄신안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쇄신안의 핵심은 삼성그룹의 콘트롤타워 역할을 해왔던 미전실의 해체다.

미전실이 해체되면 그룹 차원에서 해왔던 모든 업무가 없어지고 사실상 삼성‘그룹’은 더 이상 기능을 하지 않게 된다.

각 계열사는 이사회를 중심으로 자율경영을 하게 되고 사장과 임원 인사도 계열사 이사회가 직접 맡는다. 미전실이 담당했던 기능 중 ‘대관’ 업무는 아예 없애기로 했다.

권한이 계열사로 넘어가면서 자연스럽게 미전실이 주도했던 신임인원 만찬과 수요 사장단 회의, 연말 최고경영자(CEO) 세미나, 간부 승격자 교육, 신입사원 연수 등 그룹 차원의 행사도 모두 없어질 것으로 보인다.

신입사원 공채도 올 상반기를 마지막으로 계열사별 채용으로 바뀔 가능성이 크다.

삼성그룹 홈페이지와 블로그 등도 문을 닫는 예정이다.

삼성 서초사옥에 입주한 미전실 사무실도 문을 닫는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사무실은 삼성전자 수원 본사로 옮겨갈 것으로 보인다. 3년째 와병 중인 이건희 회장 집무실은 존치될 가능성이 크다.

미전실 소속 임직원 200여명은 삼성전자·생명·물산 등 3개 주력 계열사로 이동, 미전실 업무 인수인계 등을 거친 후 원소속사나 다른 계열사에 배치될 것으로 알려졌다.

미전실이 빠져나간 공간엔 금융 관련 계열사가 입주할 것으로 예상된다.

쇄신안에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으로 인한 국민연금과 소액주주의 손실 주장과 관련, 사회공헌 차원의 보상책이 포함될 가능성도 있다.

2008년 이건희 회장 차명계좌의 실명 전환 후 세금을 납부하고 남은 1조 원을 사회에 환원하는 방안 등도 이르면 내달 중 밝힐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조치는 이재용 부회장의 구속이라는 초유의 총수 부재 사태를 불러온 정경유착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총수 직속 조직인 미전실은 1959년 이병철 창업주 시절 회장 비서실에서 출발해 1998년 구조조정본부, 2006년 전략기획실, 2010년 현재의 미전실로 이름을 바꿔가며 60년 가까이 명맥을 유지해왔다.

계열사들의 현안을 직접 챙기고 그룹을 총괄하는 역할을 해 ‘임원 승진을 위한 필수코스’로 여겨지기도 했다.

그러나 대외로비와 총수 일가의 경영승계 지원 등의 업무로 삼성 ‘흑역사’의 산증인이라는 평을 받았다. 특히 최근 ‘최순실 게이트’와 관련해 두 차례나 검찰 압수수색을 받으며 비판 여론에 직면했다.

이 부회장은 지난해 12월 국회 청문회에서 “국민에게 부정적인 인식이 있다면 (미전실을) 없애겠다”고 직접 약속했다.

미전실 해체 후 한동안 혼란은 불가피해 보인다. 계열사들의 이해가 엇갈릴 때 이를 조정한다거나 부실 계열사를 지원하는 것 역시 미전실의 고유 역할인데 한동안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기존 사업과 무관한 신사업에 진출하고 대규모 M&A를 단행할 때 총수의 결정을 보좌하던 미전실이 없으면 큰 틀의 사업 디자인은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