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가 미래다] 한화, 스마트팩토리로 ‘에너지 4.0시대’ 선도

[투자가 미래다] 한화, 스마트팩토리로 ‘에너지 4.0시대’ 선도

입력 2017-03-29 17:46
수정 2017-03-29 17: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메이우드에 위치한 한화큐셀의 태양광발전소. 한화그룹 태양광 사업의 전초 기지 중 하나다. 한화그룹 제공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메이우드에 위치한 한화큐셀의 태양광발전소. 한화그룹 태양광 사업의 전초 기지 중 하나다.
한화그룹 제공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산업 간 경계를 허무는 초융합과 초연결, 초지능의 기술혁명은 우리를 새로운 미래로 이끌고 있듯이 4차 산업혁명은 우리에게 큰 위기이자 기회”라며 “소프트파워 혁명시대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기업환경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회장은 지난 13일 방한한 제프리 이멀트 GE 회장을 만나 제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신성장 동력 발굴 등 공통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또 한화테크윈과 GE가 30년 넘게 이어온 항공엔진과 가스터빈 분야의 지속적인 협력방안과 산업용 사물인터넷(IoT) 적용에 대해 논의하고, 태양광 분야에서의 협력 가능성도 모색했다.

최근 산업연구원은 에너지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구성요소가 되는 ‘에너지 4.0’ 시대가 올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화큐셀은 셀 생산능력뿐만 아니라 기술력에서도 세계 1위 기록을 갖고 있다. 지난해 본격 상업생산을 시작한 충북 진천 태양광 셀 공장에는 생산관리시스템이 적용됐다. 스마트팩토리를 지향하는 이 시스템은 생산실행, 품질·창고관리 등의 단계에서 오류를 감지할 수 있는 무인화 설비가 적용됐고 설비 및 물류를 제어하는 시스템 등을 관제센터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화S&C는 IoT를 강화하고 있다. 지능형 교통관리와 지능형 빌딩 시스템 기술 등을 갖춘 한화S&C는 IoT 3대 핵심기술(센싱기술, 유무선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서비스인터페이스 기술) 중 센싱기술을 중심으로 여러 산업 영역으로 적용을 늘리고 있다.

2017-03-30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