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4차 산업혁명의 대동맥인 5세대(5G) 이동통신을 선도하겠다는 포부다. 2015년 9월 대한민국 통신 130년을 맞아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황창규 KT 회장은 지능형 네트워크와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을 통해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을 이끌겠다고 발표했다. 이를 위해 2020년까지 총 13조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이미지 확대
KT가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선보일 5G 자율주행 버스는 경기장 곳곳을 스스로 달리며 운전자와 승객은 자율주행 드론이 배달해 주는 택배를 받을 수 있다. KT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KT가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선보일 5G 자율주행 버스는 경기장 곳곳을 스스로 달리며 운전자와 승객은 자율주행 드론이 배달해 주는 택배를 받을 수 있다. KT 제공
KT는 ‘기가 인터넷’의 대중화를 위해 2014년 10월 국내 최초로 기가 인터넷의 전국 상용화를 시작했다. 가입자는 최근 280만명을 넘어섰다. 국내에서의 성공 경험을 발판으로 스페인 카탈루냐 등 해외에 구리선으로 기가 인터넷을 구현하는 ‘기가 와이어’ 기술을 공급하고 있다.
2015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에서는 황 회장이 기조연설을 통해 5G가 만들어낼 미래상을 제시, 전 세계 ICT업계의 공감을 얻었다. 지난해에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선보일 ‘평창 5G 규격’을 완성하고 삼성전자와 함께 세계 최초 ‘5G 퍼스트 콜’에 성공하는 등 괄목할 성과를 거뒀다. 내년에 열리는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세계 최초로 5G 시범 서비스를 선보이고 2019년에는 5G 상용 서비스를 실현하며 5G 시대를 앞당길 계획이다.
KT는 지능형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에너지·보안·헬스 등에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조만간 인공지능(AI)이 결합된 지능형 홈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와 홀로그램, 가상현실(VR), 커넥티드카, 자율주행차 등 미래 서비스의 구체적 계획을 공개할 예정이다.
2017-03-30 3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