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 인상’ 재계 반응
철강·반도체업종 등 타격 예상… “기업 대비할 시간 필요” 주장도재계는 19일 탈원전 시대에 맞춰 원자력 비중을 낮추고 신재생 에너지 비중을 높여야 한다는 것에는 동의하면서도 급격한 전기요금 인상이 국제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특히 전기 사용이 많은 철강과 시멘트, 석유화학, 디스플레이, 반도체 업종은 국제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이 하락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한 철강업계 관계자는 “에너지 시스템 개편에 따른 비용 증가는 기업들 스스로 대비해야 한다”면서도 “정부가 인상 시기와 인상률 등에 대한 로드맵을 사전에 알려 줘 기업들이 대비할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를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24시간 설비를 가동시키는 업종 특성상 심야전기 할인 혜택 등은 원래 못 받고 있었다”면서 “산업용 전기료를 올리는 만큼에 비례해 비용이 늘어나게 된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산업용 전기의 원가회수율이 높은 것을 근거로, 인상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 재계 관계자는 “산업용 전기는 고압으로 전기를 전달하기 때문에 일반 전력 공급원가보다 kWh당 22원가량 낮아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이 책정됐을 뿐, 결코 싼 것은 아니다”라면서 “2015년 기준 109%로 전체 원가회수율(100%) 대비 오히려 높은 편”이라고 강조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7-06-20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