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거래 ‘엄지족’이 대세…코스닥은 40% 육박

주식거래 ‘엄지족’이 대세…코스닥은 40% 육박

입력 2017-10-01 10:41
수정 2017-10-01 10: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스마트폰으로 주식을 사고파는 이른바 ‘엄지족’의 주식거래 비중이 올해 코스닥 시장에서 이미 40%에 육박하는 등 사상 최고 경신 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들어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MTS)을 통해 거래된 코스닥 주식은 9월28일 현재까지 일평균 2억7천954만주로 전체 코스닥 주식 거래량의 39.4%를 차지했다.

이는 작년 연간 코스닥 시장의 모바일 거래 비중(36.1%)보다 3.3%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2009년까지 2.8%이던 코스닥의 모바일 거래 비중은 2010년 4.1%, 2011년 9.7%, 2012년 16.1%, 2013년 20.3%, 2014년 24.3%, 2015년 30.1% 등 매년 사상 최고치를 경신해왔다.

올해 코스피 시장의 모바일 거래량도 1억1천819만주로, 전체의 34.0%에 달했다.

코스피 시장도 모바일 거래 비중이 2009년 2.4%에서 2010년 3.5%, 2011년 8.5%, 2012년 15.0%, 2013년 19.3%, 2014년 21.5%, 2015년 27.3%, 2016년 31.7%로 역시 큰 폭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증권사들이 비대면 계좌개설 등과 맞물려 무료 수수료 이벤트를 벌인 영향도 크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거래의 디지털화 추세에 맞춰 모바일 부문의 서비스 경쟁력이 중시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 기반의 홈 트레이딩 시스템(HTS)이나 영업점 단말기, 유선단말기(ARS)를 이용한 거래 비중은 갈수록 줄고 있다.

올해 영업점 단말기를 이용한 코스닥 주식 거래량 비중은 5.7%에 불과했다.

유선단말기 거래 비중은 0.3%, 기타는 3.5%에 각각 그쳤다.

코스닥의 HTS 거래량 비중은 51.1%로 아직 굳건한 1위이지만 2009년 86.0%와 비교하면 위축 속도는 다른 주문 매체보다 오히려 빠른 편이다.

코스피 시장 역시 영업점단말기(14.6%)와 유선기(0.4%), 기타(7.7%) 등 전통 주문매체 비중이 빠르게 낮아졌다.

HTS 비중은 43.3%로 역시 제일 크지만 2009년의 73.4%와 비교하면 눈에 띄게 낮아진 상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