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혼남녀 10명 중 2명 “아이 낳지 않겠다”

미혼남녀 10명 중 2명 “아이 낳지 않겠다”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1-09 11:07
업데이트 2018-01-09 11: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듀오 ‘2018 출산 인식 보고서’ 펴내

미혼남녀 10명 중 2명은 결혼 후 아이를 낳지 않을 계획이라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청와대에서 ‘삶이 먼저다’라는 기치로 자신이 위원장을 맡은 제6기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감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첫 간담회에서 “지금까지의 저출산 대책들의 한계를 성찰하면서 더욱 근본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 게 위원회가 할 일”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청와대에서 ‘삶이 먼저다’라는 기치로 자신이 위원장을 맡은 제6기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감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첫 간담회에서 “지금까지의 저출산 대책들의 한계를 성찰하면서 더욱 근본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 게 위원회가 할 일”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결혼정보회사 듀오가 운영하는 듀오휴먼라이프연구소가 9일 공개한 ‘2018 출산 인식 보고서’에 따르면 미혼남녀가 생각하는 평균 출산 시기는 결혼 후 ‘1년 9개월’, 희망 자녀수는 ‘1.8명’으로 나타났다.

결혼 후 희망 출산 시기를 묻자 응답자의 59.7%는 ‘결혼 후 2년 이내’라고 답했다.

이어 아이를 ‘낳지 않겠다’는 응답은 18.8%를 차지했다. 10명 중 2명 꼴로 출산 계획이 없다고 밝힌 것이다. 여성(22.9%)이 남성(14.5%)보다 ‘낳지 않겠다’는 의견이 많았다.

희망하는 자녀 수는 ‘2명’(48.3%)이 가장 많았고 1명(23.5%)이 뒤를 이었다.

응답자들은 자녀 출산 시 가장 걱정되는 부분으로 ‘육아에 드는 시간과 노력’(38.3%), 양육비용(24.4%), ‘사교육비 부담’(20.4%)을 꼽았다.

응답자의 74.5%는 맞벌이를 희망했다. 여성(71.6%)보다는 남성(77.5%)이 맞벌이를 더 원했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맞벌이를 선호했다.

저출산 원인으로는 ‘육아로 인한 경제적 부담’(29.0%)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일과 가정 양립의 어려움’(28.5%), ‘결혼의 지연과 기피 의식’(14.9%), ‘실효성 없는 국가 출산 정책’(9.7%) 등 순이다.

저출산 해결을 도와줄 효과적인 정책으로는 ‘보육 지원’(27.8%)과 ‘출산 지원’(25.8%), ‘주거 지원’(17.4%) 등의 답변이 나왔다.

이번 설문조사는 전국 25∼39세 미혼남녀 총 1천명(남성 489명·여성 511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1월 6일부터 20일까지 실시됐다. 설문조사를 전문회사인 온솔커뮤니케이션이 맡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