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서울 주택거래 ‘반토막’…양도세 중과전 집팔기 기저효과

4월 서울 주택거래 ‘반토막’…양도세 중과전 집팔기 기저효과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5-17 11:06
수정 2018-05-17 11: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4월 다주택자 등에 대한 양도소득세 중과가 시행되자 서울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거래량이 크게 떨어졌다.

1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주택 매매 거래량은 1만2천347건으로 전달에 비해 48.8%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작년 동월 1만4천844건에 비해서는 16.8% 감소했고 5년 평균치와 비교하면 21.4% 줄어든 것이다.

주택 소유자들이 작년 연말부터 올해 3월까지 양도세 중과를 앞두고 서둘러 집을 팔면서 거래량이 부쩍 늘었으나 지난달 세 부담이 늘어난 이후부터는 주택 처분이 줄어들면서 기저효과가 발생한 것이다.

4월 수도권 거래량은 3만7천45건으로 전달 대비 31.6%, 작년 동기에 비해서는 6.1% 줄었고 지방은 3만4천706건으로 전달보다 10.2%, 작년 동기 대비 3.4% 감소해 수도권의 거래량 감소폭이 더 컸다.

전국의 주택 매매 거래량은 7만1천751건으로 작년 동월(7만5천381건)과 5년 평균치(9만976건) 대비 각각 4.8%, 21.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거래량은 전달인 9만2천795건에 비해서는 22.7% 줄어들었다.

주택 유형별로 아파트 거래량은 4만6천368건으로 작년 동월 대비 0.9%, 연립·다세대는 1만4천684건으로 13.1%, 단독·다가구주택은 1만699건으로 8.4% 감소했다.

전월세 거래량은 15만3천609건으로 작년 동월 13만4천383건 대비 14.3% 증가했으나 전달 17만8천224건에 비해서는 13.8% 감소했다.

전월세 거래량 중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40.0%로, 작년 동월(43.3%) 대비 3.3%포인트 줄었고 전달(40.6%)에 비해서는 0.6%포인트 감소했다.

임차유형별로 전세(9만2천231건)는 작년보다 21.1%, 월세(6만1천378건)는 5.5% 각각 증가했다.

수도권(10만2천132건)은 작년 동월 대비 14.3%, 지방(5만1천477건)은 14.3% 증가했다.

주택 매매 거래량 및 전월세 실거래가 등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시스템(www.r-one.co.kr, 부동산정보 앱) 또는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 홈페이지(r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