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 탓 수입물가 올라 ‘최저’
무역분쟁 재연… 체감경기 바닥유가 상승 탓에 지난달 우리나라의 교역조건이 3년 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달 소비심리도 무역 분쟁과 고용 부진 등으로 1년 2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6/26/SSI_20180626182659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6/26/SSI_20180626182659.jpg)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상품 1단위를 수출한 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뜻한다. 수출 단가가 떨어지거나 수입 단가가 오르면 하락한다. 교역조건이 악화된 원인은 유가 상승으로 수입 물가가 오른 영향이 컸다. 지난달 국제 유가는 1년 전보다 46.7%나 뛰었다.
한은은 “유가와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역의 상관관계를 보인다”며 “유가 상승분을 제외하면 교역조건은 아직도 좋은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수출 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보여 주는 소득교역조건지수는 149.65로 7.8% 상승했다. 올해 1월 13.8%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이다. 수출 물량이 늘었기 때문이다.
또 한은이 이날 내놓은 ‘6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5.5로 한 달 전보다 2.4포인트 하락했다. CCSI는 소비자들의 체감경기를 보여 주는 지표다. 지수가 100을 넘으면 낙관적, 100 미만이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지수는 지난해 4월 이후 가장 낮았으며 하락 폭은 ‘탄핵 정국’에 휩싸였던 2016년 11월 6.4포인트 이후 가장 컸다.
세부적으로 주택가격전망CSI도 4포인트 하락해 98을 기록했다. 이 지수가 100을 밑돈 것은 지난해 8월 99 이후 처음이다. 한은은 “최근 발표한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상당히 적었고, 잠잠할 것처럼 보이던 미·중 무역 분쟁이 재연되는 점이 소비자심리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 것 같다”고 분석했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8-06-27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