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철도·도로 연결 속도…한국, 사실상 섬나라에서 반도국가로

남북 철도·도로 연결 속도…한국, 사실상 섬나라에서 반도국가로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18-09-25 08:00
업데이트 2018-09-25 08: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남북 잇는 경의선 철도
남북 잇는 경의선 철도 남북이 경의선?동해선 철도 현대화를 위해 공동연구조사단을 구성하기로 한 가운데 27일 경기도 파주시 임진강역에서 문산과 개성을 잇는 경의선 철로가 보이고 있다. 남북은 다음달 중순 경의선 철도 연결구간(문산-개성)에 대해 현지 공동점검을 할 예정이다. 2018.6.27 연합뉴스
남북 정상이 올해 안에 철도와 도로 연결을 위한 착공식을 갖기로 합의하면서 서북쪽으로 뻗어있는 철도·도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는 이미 철도·도로 연결 사업에 약 3000억원의 예산을 편성하고 있어 예상보다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22일 국토교통부와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가장 빠르게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되는 사업은 문산-개성 간 11.8㎞ 구간에 고속도로를 건설이다. 520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될 것으로 추산되는 이 사업은 유라시아 고속도로와 우리의 주요 산업도시를 연결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경제계에서는 2020년 수원-광명-서울-문산을 잇는 고속도로가 완성되면 경부고속도로에 이어 우리나라의 또 다른 경제 대동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개성-평양간 고속도로 현대화 사업과 고성∼원산 동해선 도로 현대화도 주요 사업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북측과 협의가 필요 없는 남측 구간의 도로 건설은 더욱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철도는 도로에 비해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지만 효과는 더욱 클 전망이다. 남북은 4·27 판문점 선언 후부터 철도 연결을 위한 사전 작업을 진행했다. 지난 지난 7월20일과 24일에는 감호역, 삼일포역, 금강산청년역 등 동해선 철도 연결구간과 북측 사천강 교량, 판문역, 손하역, 개성역 등 경의선 연결구간에 대해 공동점검을 실시했다.

북한은 현재 중국과 3개 노선, 러시아와 1개 노선이 연결돼 있다. 남북을 잇는 철도가 여기에 연결되면 한국은 시베리아 횡단철도(TSR)·중국 횡단철도(TCR)·만주 횡단철도(TMR)·몽골 횡단철도(TMGR) 등 4개의 대륙횡단철도를 통해 유라시아를 넘나들게 된다. 서울에서 북한 신의주까지 517㎞의 철도가 복원되면 우리가 얻는 경제적 이익은 연간 1억 5000만 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재계 관계자는 “남북이 분단되면서 우리는 사실상 섬나라가 되면서 경제도 서울-부산을 축으로 성장했다”면서 “하지만 북한을 통해 대륙과 연결되면 새로운 성장의 축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2010년 해운·도로·철도의 글로벌 화물 운송 부담 비율은 각각 85%, 9%, 6%다. 하지만 한국은 2013년 기준 99% 이상의 화물을 해상운송에 의지하고 있다.

하지만 철도·도로가 연결되려면 대북 제재가 먼저 해제돼야 한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시일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했을 정도로 관심이 큰 사업인 만큼, 북한에 대한 경제 제재가 풀린다면 어느 사업보다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