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로 민간소비 제약할 수도…연금 확대·고용 확대로 개선 가능성
한국 고령층의 평균소비성향이 미국, 일본 등 주요국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노인
28일 국회예산정책처의 ‘2019년 및 중기 경제전망’ 보고서를 보면 한국의 60세 이상 고령층의 평균소비성향은 2016년 기준 67.2%다.
이는 미국(104.0%·65세 이상 기준)의 ⅔, 일본(88.6%)의 ¾ 수준이다.
평균소비성향은 수입에서 세금, 보험료 등을 빼고 쓸 수 있는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다.
대개 평균소비성향은 소득이 적은 20∼30대에서 높다.
이후 소득이 증가하는 40∼50대에는 낮아졌다가 소득이 준 만큼 씀씀이가 줄지 않는 60대 이상에서 다시 오른다.
미국과 일본의 연령별 평균소비성향 추이는 이런 일반적인 경향과 비슷하다.
미국에선 25∼34세에서 높았던 평균소비성향이 35∼54세에 떨어졌다가 나이가 들수록 상승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일본은 40세 미만에서 평균소비성향이 가장 낮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상승했다.
한국은 이와 다르다. 40대의 평균소비성향이 75.9%로 가장 높았다가 50대가 되면 67.9%로 급격히 꺾이고 60세 이상에서 더 떨어졌다. 60세 이상이 전체 연령대 중 평균소비성향이 가장 낮았다.
이는 고령화로 기대 수명은 길어지는데 한국 고령층의 소득 감소 속도가 유달리 빠르기 때문으로 보인다. 고령층이 없는 돈을 쪼개 저축을 늘리고 소비지출을 급격하게 줄인다는 것이다.
보통 고령층이 될수록 소득이 줄지만 한국만큼 큰 폭으로 소득이 쪼그라들지 않는다.
지난해 기준으로 보면 60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264만5천원으로 전체 가구의 처분가능소득(411만8천원)의 64.2%에 불과했다.
미국(65세 이상)은 이 비율이 94.5%, 독일(65세 이상)은 88.3%에 달했다.
프랑스(65세 이상)와 룩셈부르크(65세 이상)는 100%를 넘어 오히려 고령층이 처분가능소득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 고령층의 자산이 현금화하기 쉬운 금융자산보다 집, 땅 등 실물자산에 몰려 있는 점도 소비 여력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60세 이상 가구의 총자산 가운데 금융자산 비중은 18.8%에 불과하다.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하는 가운데 평균소비성향이 낮은 고령층이 많아질수록 민간소비 활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다만 예정처는 “중기적으로 기초연금제도 확대 개편으로 고령층 연금소득이 증가하고 고령층 고용이 증가하면서 고령층의 소득 여건이 개선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