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0번호, SKT는 7.5% 남아…번호고갈 대비해야”

“010번호, SKT는 7.5% 남아…번호고갈 대비해야”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입력 2018-11-01 09:23
수정 2018-11-01 09: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직장인 A씨는 최근 휴대전화 번호를 바꿨지만 다시 번호를 변경하려고 한다. 일상생활에 방해가 될 정도로 전 주인을 찾는 전화와 문자가 많이 오기 때문이다. 현재 해지된 번호는 28일이 지난 뒤 제3자에게 다시 주도록 하는 ‘재활용 제한 기간(에이징 기간)’이 운영 중이지만, 휴대전화 번호가 유한 자원인 만큼 새로운 번호를 제공받기에는 한계가 있다.
자유한국당 윤상직 의원이 22일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등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2018.10.22 toadboy@yna.co.kr
자유한국당 윤상직 의원이 22일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등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2018.10.22 toadboy@yna.co.kr
SK텔레콤 등 이동통신 3사가 정부로부터 할당받은 ‘010’ 번호의 80% 이상을 소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번호 고갈’ 사태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자유한국당 윤상직 의원이 3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받은 ‘010 번호 개통 현황’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SK텔레콤은 정부로부터 할당받은 3380만개 번호 중 92.5%인 3125만개를 사용하고 있다. 남은 번호는 7.5%인 255만개에 불과하다. 또 KT는 2456만개 중 1855만개(75.5%), LG유플러스는 1556만개 중 1073만개(68.9%)를 각각 사용 중이다.

이동통신 3사를 통틀어서는 총 7392만개 중 81.9%인 6053만개를 사용해 18.1%인 1339만개만 남아 있다. 앞서 정부는 2004년 ‘010 번호 통합’ 정책을 통해 011·016·017·018·019 등 기존 이동통신용 번호의 신규 가입을 없애고, 신규·변경 가입자는 010 번호만 사용하도록 했다. 전체 1억개 번호 중 112·119와 같은 긴급 전화와 혼선 가능성 등을 피하기 위해 사용을 제한한 ‘0000∼1999’를 제외한 약 8000만개를 사용할 수 있는데 휴대전화와 태블릿 등 2대 이상의 단말기를 동시에 쓰는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번호 고갈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과기부는 KT와 LG유플러스의 남는 번호를 SK텔레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번호공동사용제 등을 통해 대비하고 있다. 윤 의원은 “소비자 불편이 없도록 정부는 지속적인 수요 예측을 통해 효율적으로 번호 자원을 관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