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경제로 전환, 청년·소상공인에게 기회”

“데이터 경제로 전환, 청년·소상공인에게 기회”

최선을 기자
입력 2019-02-13 18:02
업데이트 2019-02-14 0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종구 금융위원장, 신용정보법 공청회

“세계와 경쟁 골든타임”… 법 개정 촉구
이미지 확대
최종구 금융위원장
최종구 금융위원장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13일 “데이터 경제로의 전환에 따라 금융산업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생산적·포용적 금융’으로 바뀌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이날 금융위원회와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동 개최한 ‘데이터 기반 금융혁신을 위한 신용정보법 공청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그는 “청년층과 주부 등도 통신료 납부, 온라인 쇼핑, 디지털 행동 패턴 등 다양한 비금융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면 더 낮은 금리로 금융을 이용할 수 있다”면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도 대형 제조·유통회사들이나 가능했던 정밀한 상권 분석, 고객 타깃 마케팅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위원장은 ‘데이터 경제 3법’(개인정보보호법, 신용정보법, 정보통신망법)의 개정을 촉구했다. 그는 “지금이 데이터 경제를 둘러싼 전 세계적 경쟁에 참여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이 지난해 11월 대표 발의한 신용정보법 개정안은 마이데이터 산업을 통해 고객이 맞춤형 금융상품을 추천받도록 하는 내용과 비금융정보 전문 신용평가사를 설립해 금융 거래 이력이 부족한 계층의 신용평점 상승을 유도하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신용평가사에 빅데이터 관련 업무를 허용해 소상공인 상권분석 등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의 출현도 유도하고 있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데이터 경제 활성화에 따른 정보보호·보안 방안 등도 논의했다. 핀테크 애플리케이션(앱) ‘뱅크샐러드’를 운영하는 레이니스트의 김태훈 대표는 “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을 위해 일정 수 이상의 고객이 확보되면 보안성 강화 규제가 반드시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동환 KB금융지주 전무는 “마이데이터 산업 세부 추진 방안을 마련할 때 정부, 금융사, 핀테크 업체 등이 모두 참여하는 별도 협의체 운영이 필요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9-02-14 2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